한국부동산원, 올해 들어 전국 전세가격, 4.55% 하락
서울 전세 거래건수도 작년 1월보다 30% 이상 줄어
[미디어펜=이희연 기자]전국 전세가격이 2년 만에 하락하면서 세입자와 집주인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집주인의 경우 전세가격 하락과 금리 상승으로 좀처럼 세입자를 구하기 어려워진 것이다. 반면 2년 계약을 채운 세입자는 선택지가 다양해 졌다. 

17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들어 전국 전세가격은 4.55% 하락했다. 서울(-6.08%)과 경기(-6.53%), 인천(-5.68%) 등 수도권 누적 하락률이 전국 평균보다 더 크다. 서울에서는 금천(-7.23%), 강서(-7.06%) 등 외곽 지역은 물론, 대표 학군지인 양천(-8.39%), 강남(-7.14%)에서도 하락세가 두드러진다.

서울 강남구 삼성동 삼성힐스테이트1단지 84.24㎡ 전세는 2021년 3월 최고 14억2000만원에 실거래됐다. 현재 최저가 전세 매물은 9억원 수준으로 5억2000만원 낮다.

   
▲ 서울시 아파트 전경./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서울 성동구 금호동 e편한세상금호파크힐스 84.93㎡ 전세는 2021년 1월 최고 11억원에 실거래가 이뤄졌다. 현재 전세 매물은 7억3000만원부터 가격을 형성했다. 4억7000만원 차이가 벌어졌다.

서울 강남구 대치동 은마 아파트는 2021년 1월 전용면적 76㎡ 전세가 9억원, 10억원에 각각 계약됐지만 현재 매물은 4억원대 중반이다. 

전셋값은 2020년 7월말 임대차 3법이 시행된 이 후 급격히 오른 후 지난해 부터 하락세가 시작됐다. 

집주인의 경우 전셋값은 크게 내렸지만 새 세입자를 구하기는 어려워졌다. 금리가 오르면서 대출 환경이 열악해 졌기 때문이다. 

반면 세입자의 경우, 살고 있던 집의 계약을 연장하면 낮아진 시세와 보증금의 차이만큼 보증금을 깎을 수 있어 목돈이 생긴다. 또한 현재 보증금으로 더 큰 평수로 이사도 가능하게 됐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서울 전세 거래건수는 지난해 2월 1만3002건에서 지난달 8802건으로 30% 이상 줄었다.
[미디어펜=이희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