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오는 23일 기준금리 인상 여부 논의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긴축 장기화 전망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한국은행의 통화정책 방향을 둘러싼 금융권의 관심이 집중된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내부에서도 추가 기준금리 인상을 두고 찬반 의견이 팽팽히 맞서는 가운데 시장에선 동결에 무게를 싣는 분위기다.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달 1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참석하고 있다. /사진=사진공동취재단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은은 오는 23일 통화정책방향을 결정하는 금통위 정례회의를 열고 현재 연 3.50% 수준의 기준금리 인상 여부를 논의한다. 앞서 한은은 지난해 4월부터 지난달까지 연속 7차례(1.25%→3.50%)에 걸쳐 기준금리를 인상해왔다.

시장에선 경기 부양 등을 고려해 한은이 '숨 고르기'에 나설 것으로 전망한다. 수출 부진에 소비 마저 위축되면서 경기침체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특히 고금리 여파로 가계 빚 부담이 커진 상황에서 전기·가스요금 등 각종 공공요금이 인상되면서 서민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는 만큼 경기 부양을 고려해 기준금리 동결에 무게를 두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10일 "물가 안정 기조를 확고히 해나가되 이제 서서히 경기 문제도 신경 써야 하는 상황으로 점점 가게 된다"며 "만약 물가 안정 기조가 확고해지면 모든 정책 기조를 경기 쪽으로 턴(turn·전환)해야 한다"고 언급한 점 역시 시장에선 주목하고 있다.

다만 추가 기준금리 인상 여부를 둘러싸고 내부에서도 찬반 의견이 팽팽히 엇걸리는 분위기다. 이창용 총재는 지난달 금통위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번 회의에서 3명은 최종금리 수준을 연 3.5%로, 나머지 3명은 연 3.75%까지 열어두자는 의견이 있었다"고 밝혔다.

금리동결을 지지하는 입장에선 가파른 금리 인상이 소비와 투자를 제약해 경기침체로 이어질 우려가 큰 만큼 금리인상에 신중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지난달 금통위 의사록에 따르면 금리동결을 주장한 한 의원은 "그동안 금리 인상이 실물경제에 영향을 주기 시작했으며, 올해 경기가 당초 예상을 하회하는 수준으로 낮아질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현재 금리수준이 상당히 긴축적"이라고 말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대로 여전히 높은 데다 이미 한미 금리가 1.25%포인트로 벌어지면서 추가 금리 인상에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는 4.5~4.75%다.

추가 금리인상을 지지하는 한 위원은 인플레이션 리스크가 여전히 높은 수준임을 지적하며 "2% 이상의 상승률을 보이는 품목들을 지수화한 확산지수가 7월 수준에서 내려가지 않았고, 근원 품목 확산 지수는 오히려 계속 오르고 있어 수요 측면의 인플레이션을 억제할 필요성이 여전히 존재한다"고 밝혔다.

지난달 우리나라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5.2% 상승했다. 물가상승률은 공공요금 인상 여파가 크게 작용했는데 이달에도 5% 내외의 높은 수준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에 따른 국제유가 등 원자재 가격 추이 등이 물가 상방 요인으로 지목된다.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