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실증사업 1단계 참여…AI·5G 기술력 앞세워 관제시스템 등 개발
[미디어펜=나광호 기자]국내 이통통신 기업들이 도심용 항공모빌리티(UAM) 사업을 미래먹거리로 육성하고 있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2040년 국내 UAM 시장 규모는 13조 원, 글로벌 마켓은 800조 원 규모로 형성될 전망이다.

국토교통부도 상용화를 위해 'K-UAM 그랜드챌린지' 실증사업을 추진하는 중으로, SK텔레콤은 한화시스템·한국공항공사 등과 손잡고 참여한다. 기체 및 운항 분야는 SK텔레콤이 맡고, 버티포트(UAM 전용 이착륙장)과 교통관리 분야는 한화시스템이 주도하는 방식이다.

   
▲ 22일 그랜드하얏트 서울에서 (왼쪽부터) 윤형중 한국공항공사 사장·이상률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원장·어명소 국토교통부 제2차관·신용식 SKT 부사장·김영호 한화시스템 부사장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SK텔레콤 제공

SK텔레콤은 미국 조비 에비에이션의 실제 UAM 기체로 안전성을 검증하고, 국내 최초로 구축한 4G·5G 기반의 특화 상공망을 활용해 300~600미터(m)에서 통신 품질도 테스트한다. 티맵모빌리티와 협력해 UAM-지상교통을 연결하는 플랫폼도 개발하고, 오는 27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MWC23'에서 운항 관리시스템을 비롯한 UAM 관련 기술력과 서비스를 소개한다.

공항공사는 항공정보 연계 솔루션(SWIM)을 UAM에 접목하고, 한화시스템은 항행·관제 솔루션(CNSi) 및 교통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기상 변수에도 기체가 안전 운항 경로를 스스로 찾도록 하는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등 안전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KT는 현대자동차·현대건설과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이들 3사는 내년 상반기 실증 비행을 수행할 예정으로, 승객의 탑승·도착 및 이용을 비롯한 영역에서 테스트를 진행한다. 

각 사가 보유한 개별 시스템의 안전성을 검토하고, UAM 서비스 통합 운용 관점에서 실증을 수행할 예정으로, 다양한 교통수단의 정보를 통합하는 서비스(MaaS)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육상 모빌리티 연계도 추진한다.

이번 실증사업에서는 통신환경을 검증하고, 교통관리 시스템과 UAM 데이터 공유플랫폼을 통합운용환경에서 연동하기로 했다. 인공지능(AI) 및 5G 기술을 교통관제분야와 상공 통신망에 적용하는 등 비행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상용화에 필요한 기술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 22일 그랜드하얏트 서울에서 (왼쪽부터) 박영준 현대건설 상무·이상률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원장·어명소 국토교통부 제2차관·신재원 현대자동차 사장·박종욱 KT 사장이 K-UAM 그랜드챌린지 협약식 이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KT 제공

LG유플러스도 카카오모빌리티·GS건설·버티컬 에어로스페이스와 팀을 이루고 참여제안서를 제출했다. 이들은 내년 7월29일부터 9월6일까지 기체 안전성·통합 운용성·소음 측정을 비롯한 1단계 실증을 진행할 예정이다.

LG유플러스는 △비행계획서 분석 및 승인 △교통흐름 관리 △충돌 관리 △회랑이탈 모니터링 △운항정보 공유 등을 포괄하는 지능형 교통관리 플랫폼을 개발 중으로, 조종사와 관제사의 교신을 통해 비행 안전성을 높인다는 전략이다.

오는 23일부터 사흘간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2023 드론쇼코리아'에도 참가 기업 중 최대 규모(320㎡)의 부스를 조성한다.

업계 관계자는 "롯데정보통신·대우건설·제주항공을 비롯한 다른 업체들도 출사표를 던진 상황"이라며 "1단계를 통과한 컨소시엄은 2024년 도심지역에서 진행되는 2단계 실증사업에 참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22일 그랜드하얏트 서울에서 (왼쪽부터) 신상철 GS건설 부사장·이상률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어명소 국토교통부 제2차관·이상엽 LG유플러스 전무·장성욱 카카오모빌리티 부사장이 K-UAM 그랜드챌린지 협약식 이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LG유플러스 제공


[미디어펜=나광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