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백지현 기자]금리인상과 주식‧채권가격 하락 등의 영향으로 한국은행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이 2조5452억원으로 전년대비 67.6% 급감했다.

한국은행이 30일 발표한 '2022년 연차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순이익은 2021년(7조8638억원)보다 5조3186억원 감소한 2조5452억원으로 집계됐다. 

외화자산 운용이자와 외환매매익 증가 등에 따른 총수익이 증가했으나, 유가증권 매매 손실과 통화안정증권이자 등 총비용이 큰폭으로 증가하면서 순이익이 감소한 영향이다.

총수입은 2021년보다 1조 9059억 원 늘어난 20조 9443억 원을 기록했다.

하지만 총비용(17조6982억원) 증가 폭(9조3565억원)이 총수익 증가 폭(1조9115억원)의 4배를 넘었다. 유가증권 매매 손실이 6조9633억원(2조7674억원→9조7307억원)으로 늘었다.

한은은 순이익의 30%(7636억원)의 법정적립금 등을 뺀 1조7546억원은 정부 세입으로 처리됐다.

지난해 말 총자산 규모는 582조8261억원으로 2021년 말(595조6437억원)보다 12조8175억원 감소했다. 유동성 조절 규모가 축소되면서 통화안정증권 발행이 줄어든 영향으로 부채 규모는 560조9065억원으로 9조8581억원 줄었다.

한은의 외화자산(국제통화기금 포지션·금·특별인출권 제외) 현황을 살펴보면 10.0%는 현금성 자산, 65.7%는 직접투자자산, 24.3%는 국내외 자산운용사와 한국투자공사(KIC) 등에 맡긴 위탁자산이었다.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