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첫 실태조사…"복지 사각지대, 전담기구 등 지원"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서울에서 질병·장애가 있는 가족을 돌보면서, 생계를 책임지는 청년이 900명으로 추정된다는 첫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들 청년이 고립되지 않고 발돋움할 수 있도록, 서울시가 종합적인 지원책을 마련키로 했다.

서울시는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3월까지 서울에 거주하는 14∼34세 청년·청소년 298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약 900명이 '가족돌봄청년(영케어러)'으로 파악됐다고 19일 밝혔다.

900명은 항목 중 돌봄 대상자 존재 여부, 돌봄 여부, 생계 부담 여부에 '긍정'이라고 응답한 청년으로, 이번 조사는 서울시가 가족돌봄청년을 파악한 첫 사례다.

900명 중 일반 성인이 69%(616명)로 가장 많았고 중·고등학생 16%(146명), 대학생 12%(108명), 학교 밖 청소년 3%(30명) 순이었다.

   
▲ 서울시 신청사/사진=미디어펜 윤광원 기자


성별 비중은 여성 66%(598명), 남성 34%(302명)였고, 가족 구성은 부모 모두 있는 경우 62%(554명), 한부모가정 31%(281명), 조손가정 5%(45명), 부모 모두 없음 2%(20명) 순이었다. 

개인 소득은 100만원 미만이 45%(409명), 200만∼299만원 24%(214명), 100만∼199만원 20%(183명), 300만∼399만원 7%(60명)로 집계됐다.

가족 중 돌봄 대상자는 (외)할머니 28.2%(229명), 아버지 26.1%(212명), 어머니 25.5%(207명)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돌봄 대상자가 여러 명 있는 케이스도 있었다.

중·고등학생과 학교 밖 청소년은 조부모의 비중이, 대학생과 일반 성인은 부모가 각각 상대적으로 높았다.

가족돌봄청년들은 돌봄으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3.22점)과 주거비 부담(3.22점)을 가장 크게 느낀다고 답했고, 가족 구성원 간 관계(3.19점), 문화·여가 활동(3.17점), 기초생활 해결(3.13점) 등도 꼽았다.

필요한 외부 지원을 항목별로 구분하면 생계, 돌봄, 금융·사회·여가, 상담, 학습·취업 순으로 수요가 컸지만, 지원 정책 인지도는 '전혀 모름' 또는 '잘 모름'이 76.4%로 높게 나타났다.

서울시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가족돌봄청년을 복지 대상으로 끌어들이고 발굴부터 정책 연계, 지원, 사례관리까지 단계별로 지원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스스로 가족돌봄청년임을 인지하고 지원체계 내에 들어올 수 있도록 학교, 병원, 동주민센터 등 유관기관과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가족돌봄청년 지원 전담기구'(가칭)를 운영하면서 개별 상담과 사례 관리를 해, 복지정책을 다각적으로 연계한다.

아울러 고립감과 우울감 해소를 위해 돌봄 경험자와 정보 공유, 멘토링, 자조 모임을 지원하고 가족돌봄청년 지원 기반과 체계 마련을 위한 시범사업도 추진할 계획이다.

김상한 서울시 복지정책실장은 "복지 사각지대에 있던 가족돌봄청년을 사회가 관심을 갖고 살펴야 할 시점"이라며 "이들이 돌봄 부담에서 벗어나 사회관계망 안에 편입되고 건실한 사회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속해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