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 대손충당금 1년 전보다 2배 규모 늘려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5대 시중은행의 지난 3년간 코로나19 금융지원에 따른 원금과 이자를 미뤄준 소상공인·중소기업 대출이 37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실상 오는 9월 상환유예 지원이 종료되는 만큼 은행권은 대출 부실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분위기다.

   
▲ 5대 시중은행의 지난 3년간 코로나19 금융지원에 따른 원금과 이자를 미뤄준 소상공인·중소기업 대출이 37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사진=김상문 기자


8일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코로나19 금융지원 실적'에 따르면 코로나19 금융지원이 시작된 2020년 4월부터 이달 4일까지 대출 만기연장과 원리금 및 이자를 상환유예 한 중소기업·소상공인 대출 건수는 25만9594건으로 집계됐다. 대출 잔액은 36조6206억원에 이른다.

세부적으로 만기를 연장한 대출(재약정 포함) 잔액이 34조8134억원(21만4326건)에 달한다. 원금 상환을 유예한 대출액은 1조5309억원(4먼37건), 이자 상환 유예액은 2762억원(5231건)으로 집계됐다.

금융당국은 2020년 초 코로나19 대확산이 발생하자 어려움에 처한 중소기업·소상공인을 대상으로 대출 만기연장·상환유예를 시행해 왔다. 해당 금융지원은 당초 2020년 9월 말까지 실시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 유행이 장기화되면서 이후 5차례 더 연장됐다.

앞서 금융당국은 자영업자·소상공인 대출 만기를 금융권과의 자율 협약에 따라 최장 3년까지 연장할 수 있도록 하고, 상환유예의 경우 최장 1년간 더 연기했다. 재연장 결정이 없는 한 사실상 상환유예 지원은 오는 9월 종료된다.

은행권은 거듭 미뤄진 대출 상환에 따른 잠재 부실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최근 연체율이 오르는 조짐을 보이는 상황에서 하반기 상환유예 지원 종료에 따른 대출 부실이 발생할 경우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더욱 커질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월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이 0.36%로 전월말(0.31%) 대비 0.05%포인트 상승했다. 지난 1월(0.31%)보다 0.05%포인트 오른 것으로 지난해 같은 달(0.25%)과 비교해 0.11%포인트 상승했다. 지난 2020년 8월(0.38%) 이후 30개월 만에 가장 높은 연체율이다. 

기업 연체율은 0.39%로 1월말보다 각 0.05%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기업 중에서도 중소기업 연체율 상승폭이 0.08%포인트(0.39%→0.47%)로 컸다.

정치권을 포함한 금융당국은 최근 본격적인 경기 하강 국면 가능성을 반영해 은행권에 선제적 리스크 관리 능력을 확충할 것을 주문해 왔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2월 은행 산업의 과점 피해를 지적하며 "수익이 좋은 시기에 은행이 충당금을 충분히 쌓고 이를 통해 어려운 시기에 국민들을 지원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에 은행권은 대손충당금 적립액을 1년 전과 비교해 2배 규모로 크게 늘렸다. KB금융은 올해 1분기 6682억원을 신규 적립했다. 이는 지난해 1분기(1458억원)의 약 4.6배 수준이다. 신한금융은 지난해(2434억원)보다 89.4% 늘린 4610억원으로 집계됐으며, 하나금융도 지난해(1646억원)의 2배 수준인 3432억원을 쌓았다. 우리금융은 지난해 1분기 1661억원에서 올해 1분기 2614억원으로 늘렸다.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