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규태 기자] "주요 키워드는 첫째로 인도·태평양 경제 외교에 본격적으로 시동을 걸었다는 것이고, 두 번째는 핵심 광물 그룹의 협력을 체계화했다는 점이다."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은 20일 히로시마 한 호텔 내 프레스센터에서 브리핑을 통해 19~21일간 열리는 G7 정상회의 참석을 계기로 다수의 양자회담을 갖고서 내는 성과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최상목 경제수석 브리핑에 따르면, 이번 G7 정상회의 계기 다자외교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발언은 A(Agriculture·농업), B(Bio·바이오), C(Climate·기후) 분야로 나뉜다.
|
|
|
▲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참석차 일본을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과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가 5월 19일 히로시마 한 호텔에서 열린 한-호주 정상회담에서 악수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제공 |
특히 윤 대통령은 글로벌 중추 국가로서 G7과 협력해 취약국과 개도국을 지원해나갈 것을 천명했고 '식량 취약국 지원', '백신 치료제 개발연구 공여금 확대', '탈탄소 국제적 규범 수립에 능동적 참여' 등의 국제 협력 방침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최 수석은 이날 브리핑에서 "윤 대통령은 세계 인구 1위로서 성장 잠재력을 보이는 인도, 중국과 미국에 이은 우리나라 제3대 교역국이자 한-아세안 조정국인 베트남, 핵심 광물 부국인 호주 등 인도·태평양 지역 핵심 국가들과 양자회담을 열었다"며 "경제 협력 심화를 위한 교두보를 구축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실제로 이번 G7 정상회의에서는 기술 패권 경쟁에 따른 공급망 분절로 핵심 광물 공급망 협력이 참여국 정상들의 주된 관심사였다.
과거에는 특정 국가와 기업끼리 광물 협력이 이뤄졌지만, 최근 들어 신뢰할 수 있는 우방 국가와 경제안보 측면에서 중요한 협력 문제가 된 것이다.
최 수석은 이날 "윤 대통령이 지난 1년간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유엔 총회,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등 다자회의에서 20차례에 가까운 양자회담을 한 게 성과로 이어졌다"며 "이를 통해 과거 원자재, 교육, 노동 집약적 투자 협력에서 벗어나 전기차, 배터리와 같은 첨단산업과 원전, 방위산업까지 협력 수준이 고도화됐다"고 설명하고 나섰다.
|
|
|
▲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참석차 일본을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과 팜 민 찐 베트남 총리가 5월 19일 히로시마 한 호텔에서 열린 한-베트남 정상회담에서 악수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제공 |
또한 최 수석은 인도태평양 경제외교에 대해 "윤 대통령은 인도, 베트남, 호주 등 인태전략 핵심 협력국과 경제외교에 본격적으로 나섰다"고 전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 19일 한국과 세 번째로 교역량이 많은 베트남, 핵심광물 부국인 호주 등 인태지역 핵심국가와 G7 계기 양자회담을 갖고 경제협력 심화를 위한 교두보를 구축했다.
최 수석은 이와 관련해 "정부는 이 국가들과 양자협력 뿐 아니라 인태경제프레임워크(IPEF), 핵심광물안보파트너십(MSP) 등 다자협력 플랫폼을 통해 광산 공동개발과 정-제련 공정 협력을 포함한 전-주기적 협력체계 구축에 나서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