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청년의 4.5% 달해..."개인과 공동체 위기 초래"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서울시내 '은둔·고립' 청년이 약 13만명에 육박할 정도여서, 이들을 '양지'로 이끌어내고 새 삶을 살 수 있도록 하는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서울시가 지난 1월 발표한 '고립·은둔 청년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에 사는 고립·은둔 청년이 최대 12만 9000명으로 추정된다. 

이는 서울시 청년 인구의 4.5%에 달한다.

'고립 청년'은 정서적 또는 물리적으로 다른 사람들과 관계 단절이 6개월 이상 지속된 청년을 의미하며, '은둔 청년'은 자신의 집이나 방에서 나오지 않아 6개월 이상 사회와 교류가 차단되고, 최근 한 달 내 직업·구직 활동도 없는 청년을 뜻한다.

   
▲ '청년 마음건강 지원사업'/사진=서울시 제공


이와 관련, 서울특별시의회 유정인 의원(국민의힘, 송파 5) 주관으로 지난 22일 서울시의회 제2대회의실에서, '고립 청년을 위한 마음건강 지원 방안 토론회'가 개최됐다.

유 의원과 세계인지행동치료학회 조직위원회(위원장 정경미)는 서울시가 추진 중인 '고립·은둔 청년들이 다시 세상 밖으로 나올 수 있도록 지원하는 원스톱 지원·관리 대책'을 점검하고, 관련 분야의 전문가들과 함께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이번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고려대학교 심리학부 허지원 교수, 임민경 임상심리전문가의 '서울시 고립 청년의 심리사회적 특성 및 이해'에 관한 주제 발표가 있었다. 

또 한국임상심리학회 조현주 회장이 진행한 토론에서는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최윤경 회장, 서울심리지원 제2권역(동북)센터 한영경 팀장,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한규만 교수, 서울시 시민건강국 정신건강과 이경희 과장 등이 토론자로 참가했다.

주제 발표에 나선 허 교수는 "청년고립·은둔은 한 개인이 가족 내 문제, 집단 따돌림, 학업 및 직업적 성취의 실패 등 다양한 이유로 인해 사회와 다차원적으로 고립된 상태를 의미하고, 이는 정신건강 문제와 상호작용하면서, 개인과 공동체의 위기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청년기는 성인기로 발달하기 위해 교육과 직업훈련이 이루어지는 중요한 시기인데, 이때 교육과 고용의 단절은 만성적인 실직, 빈곤, 건강 악화, 사망과 같은 또 다른 사회문제를 양산할 수 있음을 지적했다.

토론에 임한 각계 전문가들은 청년고립·은둔은 개인의 문제를 넘어 사회적 문제로 확대될 수 있음을 언급하고, 적극적인 심리지원과 지역사회공동체적 통합적 접근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유 의원은 "청년의 고립과 은둔은 개인의 문제 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의 문제"라며 "청년들을 위한 전문적인 심리상담 서비스의 개선과 확대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져, 고립·은둔 청년의 회복을 위한 서울시 사업 패키지가 더욱 다양해지고 활성화됐으면 한다"라고 말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