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정책조정회의, 경사노위 보이콧에 "尹, 노동을 적 삼은 탓"
박광온 “노동계 우리 사회 중요한 한 축으로 인정하고 대화해야”
김성주 “尹, 유일한 통치 전략 때려잡기…비판 용납 않겠다는 것”
[미디어펜=최인혁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8일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이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 참여 중단을 선언한 것에 대해 “국민 통합의 기반이 깨질 위기”라며 정부가 사회적 대화 복원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박광온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1998년 외환위기 때 김대중 정부에서 출범한 경사노위는 크고 작은 사회적 대타협으로 교훈을 축적하며 국민 통합 기반을 튼튼히 해왔다”며 경사노위의 중요성을 언급했다.

   
▲ 박광온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6월 8일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 참석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이어 한국노총이 경사노위 참여 중단을 선언한 것에 대해 “불행하게도 그 틀이 깨질 위기”라면서 “노동계가 곤봉과 캡사이신 또 살수차로 무장하고 노동을 적으로 삼는 정부와 더 이상 대화하지 않겠다고 한다”며 윤석열 정부의 ‘반노동관’을 지적했다.

한국노총은 전날 긴급 중앙집행위원회에서 경찰이 한국노총 간부를 곤봉으로 강경 진압한 것을 사유로 경사노위 참여 전면 중단을 결정했다. 경사노위는 대통령 직속 노사정 사회적 대화기구로서 한국노총이 참여 중단을 선언한 것은 7년 5개월 만이다. 

이에 박 원내대표는 “윤 대통령은 헌법이 보장한 노동3권을 존중하고, 폭력 진압 당사자에게는 책임을 물어야 하며 노동계를 우리 사회의 중요한 한 축으로 인정하고 대화에 나서야 한다”면서 정부가 사회적 대화 복원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김성주 정책위 수석부의장도 “한국노총이 폭력진압의 항의로 유일한 노사정 대화기구인 경사노위 참여 중단을 결정했다”며 “그동안 노동조합 적대시해온 윤석열 정부의 행태를 보면 당연한 것”이라며 정부의 노조 강경 진압을 비판했다.

더불어 그는 “윤석열 정부의 유일한 통치 전략은 때려잡는 것”이라며 “이는 정부에 대한 어떤 비판도 용납하지 않겠다는 뜻”이라면서 정부가 노조와의 타협보다 진압을 우선하는 상황을 꼬집었다.
[미디어펜=최인혁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