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금융, 일본 '솜포홀딩스' 협약…"고품질 요양서비스 제공"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는 가운데, 금융권이 일본처럼 고령층 고객에 주목해 특화된 상품과 서비스를 마련해야 한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금융사 간 상품 차별화가 쉽지 않은 만큼, 요양 서비스처럼 비금융분야를 확대해 고객들의 자금이탈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11일 우리금융경영연구소가 발간한 '일본 금융회사의 고령화 특화 금융상품·서비스 사례와 시사점'에 따르면 일본 금융사는 △은퇴 부유층 공략 △헬스케어 서비스 확충 △가족 관여형 상품·서비스 확대 등 고령층의 특수한 금융니즈를 반영한 금융상품·서비스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는 가운데, 금융권이 일본처럼 고령층 고객에 주목해 특화된 상품과 서비스를 마련해야 한다는 분석이 제기됐다./사진=김상문 기자


대표적으로 미쓰비시UFJ파이낸셜그룹(MUFG)은 신탁은행의 수탁고 증대효과가 입증된 은퇴 부유층을 타깃해 고품격 비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료 멤버십 프로그램'을 그룹 은행까지 확대 적용하고 있다. 비금융 서비스는 타깃층 특성에 맞춰 최고급 피트니스·여행·쇼핑 등의 소비활동과 가사대행·간병 등의 생활지원 위주로 구성된다.

일본 최대 보험그룹인 솜포홀딩스의 '솜포 히마와리 생명보험'은 전통적 보험 기능에 예방적 건강관리 서비스(헬스케어)를 접목시켜 브랜드화한 '인슈어헬스(Insurhealth)'로 일본 생명보험의 역성장 위기를 극복했다. 솜포는 지난 2018년 이 상품을 도입했는데 매출실적 개선에 힘입어 일본 생명보험사 평균 신계약액 성장률 5.1%를 넘어서는 6.7%를 시현했다.

미쓰이스미토모은행(SMBC) 패밀리워크스는 비동거 자녀들이 겪는 현실적 어려움을 반영해 가족이 함께 고령층 고객의 자산관리·건강·안전 등을 관리할 수 있는 디지털 플랫폼 '패밀리 네트워크 서비스'를 지난해 8월 출시했다. '가족단위'에 초점을 둔 서비스를 제공해 장기적으로 젊은층까지 'WM고객화'를 유도하기 위한 포석이라는 분석이다.

연구소는 '급속한 고령화'와 '고령층의 금융상품·서비스 구매력'을 고려해 국내 금융권이 고령층 공략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1년 기준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은 16.6%로, 초고령사회(65세 이상 인구비중 20%) 예상도달 소요연수는 '7년(2025년)'으로 추정된다. 일본 10년, 미국 15년, 독일 36년, 영국 50년 등에 견줘 압도적으로 짧은 상황이다.

다만 고령층의 금융상품·서비스 구매력은 상당하다. 60대 이상 인구의 평균 자산보유액은 지난 2021년 기준 4억 9000만원으로, 40대(5억 5000만원) 50대(5억 7000만원)에 견줘 적은 편이지만, 인구수를 고려한 자산규모는 7508조원로 연령대 중 가장 큰 편이다. 2030년까지 자산 증가율도 3.63%로 가장 높은 수준이다. 

특히 60대 이상 인구의 금융자산 점유비율이 29.4%로 연령대 중 가장 높아 금융회사의 핵심 고객군으로 꼽힌다. 연령대별로 금융자산 점유비율을 살펴보면 60대 이상이 29.4%로 가장 높고, 50대 28.8%, 40대 24.7%, 30대 15.1%, 30대 미만 1.9% 순이다.

이에 금융권에서도 고령층을 타깃한 비금융서비스 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이다. 실제 KB금융은 지난 8일 솜포홀딩스와 고품질 요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솜포홀딩스가 그동안 일본에서 쌓아온 '요양서비스 산업 인프라 운영' 및 '요양 상품·서비스 개발' 역량을 전수받는 것이다.

협약에 따라 요양서비스 계열사인 KB골든라이프케어는 사물인터넷(IoT)기반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등 '디지털 기술' 분야에서 솜포케어와 협력할 예정이다. 솜포홀딩스도 이번 협약을 계기로 한국 요양서비스 산업 시장에 직·간접적으로 진출한다.

김신진 우리금융경영연구소 ESG자산관리연구실 연구원은 "향후 핵심 고객층으로 부상할 고령층 시장에 주목해 특화된 상품과 서비스를 확충함으로써 구조적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하는 동시에 신성장동력 확보 기회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며 "'비금융 서비스 확충'을 통해 고객자금 이탈을 최소화했다는 점에서, 머니무브의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용한 대응전략이 될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지적했다.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