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서동영 기자]최근 아파트 철근누락 사태 여파로 후분양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하지만 선분양을 밀어내고 대세로 자리를 잡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다.
|
|
|
▲ 타워크레인이 세워진 한 아파트 건설현장./미디어펜=김상문 기자 |
1일 분양업계에 따르면 상도 푸르지오 클라베뉴(서울), 월드메르디앙 송도(인천), 더비치 푸르지오 써밋(부산), 동탄레이크파크 자연 e편한세상(경기) 등 후분양 단지들이 청약일정을 확정했거나 조만간 청약에 돌입할 예정이다.
최근 청약 시장에서 후분양 단지 인기는 상당하다. 지난달 힐스테이트 신용 더리버(광주)는 194가구(특별공급 제외) 모집에 총 1205건이 접수돼 평균 6.2대 1의 경쟁률로 1순위 마감에 성공했다. 지난 7월에는 호반써밋 고덕신도시 3차(경기)가 1순위 청약에서 170가구(특별공급 제외) 모집에 1만3996명이 청약해 평균 경쟁률 82.3대 1을 기록했다.
최근 아파트 철근누락 사건으로 부실공사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후분양 아파트가 안전하다는 인식이 한몫했다는 분석이다.
후분양은 보통 공정률이 70~80%가량 진행됐을 때 청약 신청을 받는다. 골조가 세워진 이후 분양이 진행되기에 고객들은 공사 현장을 눈으로 직접 보고 확인할 수 있다. 더 잘 지어야 고객들의 선택을 받을 수 있는만큼 자연스럽게 부실시공이 줄어들고 아파트 품질 향상을 담보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분양업체들도 이를 강조하고 있다. 지난달 청약을 진행한 후분양 단지 분양 관계자는 "공사 현장 안에 홍보관을 마련, 우리 아파트에 관심있는 고객에게 얼마나 튼튼히 지었는지 보여주려 했으나 안전상의 이유로 실행되지 못했다"며 아쉬워했다. 또 후분양은 선분양보다 상대적으로 계약금이나 중도금을 받은 건설사가 부도가 나서 입주를 못하는 사례가 적고 입주도 빠르다.
하지만 후분양이 선분양을 밀어내고 대세로 자리 잡기란 어려워 보인다. 우선 후분양의 장점으로 꼽히는 부실시공 예방이 정말로 가능한 지 의문이라는 지적이다. 비전문가인 수분양자로서는 직접 현장을 둘러봐도 아파트 품질을 제대로 가늠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고분양가도 부담이다. 선분양은 수분양자로부터 받은 계약금과 중도금으로 공사를 진행한다. 반면 후분양은 건설사나 조합 등 시행사가 자체적으로 공사비 등 사업비를 마련해야 한다. 이로 인해 대출 등 자금 마련을 위한 금융비용이 분양가에 반영될 수밖에 없다. 또 주택도시보증공사의 분양보증이 필요가 없기에 분양가 심사를 피할 수 있어 분양가를 높게 책정할 수 있다.
때문에 후분양은 건설사나 시행사가 시장 상황 등을 고려해 분양가를 더 받기 위해 선택한 것이지 안전과는 큰 상관이 없다는 지적도 있다.
서진형 공정주택포럼 공동대표(경인여대 교수)는 "후분양제는 완성된 아파트 품질을 소비자가 확인하고 구매할 수 있지만 정작 소비자로서는 내부 구조 등을 판단할 전문 지식은 없다. 때문에 부실시공의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어 "후분양제는 건설사들의 금융비용 증가 등으로 인해 분양가 상승이 불가피할 것"이라며 후분양제 확산은 쉽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미디어펜=서동영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