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중부에 위치한 부룬디의 피에르 은쿠룬지자(51) 대통령이 3선에 성공했다. 아프리카의 대표적인 극빈국인 부룬디에서 위헌 논란을 딛고 당선된 것이다.

연합뉴스는 24일(현지시간) AFP통신 등의 보도를 인용하며 지난 21일 치러진 브룬디 대선에서 은쿠룬지자 현 대통령이 69.4%의 득표율로 당선됐다는 내용을 보도했다.

은쿠룬지자 대통령은 2005년부터 집권해 현재까지 부룬디 내정을 이끌고 있으며 새 임기 5년까지 모두 마치면 총 15년간 집권하게 된다.

한편 은쿠룬지자 대통령을 '3선 대통령'으로 만든 이번 대선의 경우 불법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지난 2005년 내전 종식 이후 '가장 극심한 혼란'이라는 평가를 받을 정도였다.

논란의 핵심은 대통령제 운용에 대한 헌법 해석이다. 부룬디 헌법은 대통령 임기를 5년 중임으로 제한하고 있다. 그러나 은쿠룬지자 현 대통령은 지난 4월 "첫 임기 때는 직접선거가 아닌 의회 선출로 집권한 것"이라는 명분을 들면서 출마를 강행했다.

은쿠룬지자의 대권도전 선언 이후 부룬디는 극심한 혼란 상황으로 접어들었다. 격렬한 항의 시위와 유혈 충돌은 100명 이상이 사망자를 발생시켰다. 이웃나라로 피신한 인파는 16만 명 이상이다.

부룬디의 상황에 대해서는 국제사회도 불편한 기색을 숨기지 않았다. 이번 3선 성공에 대해서도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는 비난 논조의 입장을 피력했다.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은 부룬디의 대선 결과에 대해 "큰 결함이 있다"고 말했다. 유럽연합(EU)도 선거 결과 발표 직전인 23일 '일련의 폭력 사태와 인권 탄압' 등에 책임을 물어 협력과 지원을 중단하는 방안을 검토한다고 밝혔다. EU는 부룬디 정부 예산의 절반 정도를 지원하고 있다. [미디어펜=문상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