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효성있는 금융교육 만들고, 자산형성용 금융상품 늘려야"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우리나라 청년 10명 중 3명은 '중산층'의 기준을 월소득 500만원 이상, 월소비 300만원 이상이라고 평가했다. 

7일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실, 금융투자협회, 청년재단이 공동으로 주최한 '한국금융 2030 청년, 금융을 말하다' 세미나에서 발표를 맡은 박세헌 청년재단 매니저는 2030 세대 청년층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에서 이 같이 밝혔다.

   
▲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실, 금융투자협회, 청년재단은 7일 '한국금융 2030 청년, 금융을 말하다' 세미나를 공동 개최했다./사진=류준현 기자


청년재단은 지난해 11월 22일부터 30일까지 9일간 2030 청년 208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청년들의 경제적 자립 기준은 '월소득 300만원 이상'으로 나타났다. 청년 10명 중 4명이 자립 기준으로 월소득 300만원을 꼽았고, 월 400만원이 뒤를 이었다. 

경제적 자립으로 빠른 은퇴를 희망하는 '파이어족'의 기준에 대해서는 청년 10명 중 3명이 '20억원 이상'을 갖추면 가능할 것으로 판단했고, 10억원 이상이 뒤를 이었다.

특히 중산층에 대한 기준이 예상보다 높았다. 조사결과, 청년 10명 중 3명은 '월 500만원의 소득'을 갖춰야 중산층에 속한다고 생각했는데, 중산층의 기준 금액 전체 평균은 월 584만원, 중간값은 월 500만원이었다. 다인가구가 아닌 1인가구도 중산층의 기준이 500만원을 초과했다. 

중산층의 소비기준도 높았다. 응답자의 26.2%는 '월 소비 300만원'을 중산층의 기준이라고 답했고, 뒤이어 월 200만원이 23.2%로 집계됐다. 1인가구가 생각하는 중산층 기준 평균 소비액은 월 288만원, 소비금액 중간값은 월 250만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중산층의 현금보유액 기준도 높았다. 청년층은 '약 10억원'의 현금을 보유해야 자신을 중산층이라고 본다는 의견이 23.8%로 가장 높았다. 

이상적인 기준과 달리 현실은 녹록지 않다. 조사결과 청년 10명 중 3명인 30.5%가 저축할 여유조차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다음으로 많은 응답이 월 10~30만원 저축에 불과했다. 

일확천금을 노리는 '빚투(빚내서 투자)' 현상도 두드러졌다. 무리한 대출 경험이 있는 청년 100명 중 50명은 주식에 직접투자한 것으로 알려졌다. 뒤이어 부동산투자가 18.8%, 가상자산 투자가 17.8%, 펀드 등 간접투자가 11.0%로 뒤를 이었다. 

이상과 현실이 큰 괴리를 보이는 가운데, 청년층이 희망하는 금융정책에도 눈길이 쏠렸다. 설문조사 후 별도 토론회에 참석한 청년들은 △채무조정제도 확대 및 불법대출 관리·감독 강화 △실효성 있는 금융 교육 신설 △자산형성을 위한 금융상품 신설 등을 꼽았다. 

대표적으로 채무조정제도인 '신속채무조정 특례제도'는 운영기간을 늘릴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현재 이 제도는 특례성으로 마련돼 내년 4월 2일까지 운영되는데, 최근 고금리 기조가 지속되는 만큼, 제도 운영기한을 1년 추가 연장할 필요가 있다는 설명이다. 

금융교육진흥법도 조속히 발의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올해 청소년을 대상으로 금융이해력을 평가했는데, 평균 점수가 46.8점에 불과해 낙제기준 60점에 훨씬 못 미쳤다. 초중고 필수교육과정에서 전문적인 금융관련 내용이 전무한 만큼, 실효성있는 교육과정을 편성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정부가 청년들의 자산형성을 돕기 위해 마련한 금융상품도 기준을 한층 완화할 것을 제언했다. 대표적으로 자산형성을 돕는 예적금 상품 '청년도약계좌'는 5년 간 매달 70만원씩 납입해야 최대 5000만원을 돌려받을 수 있는데, 5년이라는 시간이 버거워 중도해지하는 사례도 빈번하다는 설명이다. 

이에 박 매니저는 세액 공제 관련 청년 특례형 상품을 신설해 자산형성을 돕고, 만기 축소, 납입한도 확대 등으로 접근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