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러 정상회담 블라디? 제3의 장소?…12일보다 시기 미뤄질수도
[미디어펜=김소정 기자]북한 김정은 위원장의 전용열차가 11일 현재 러시아를 향해 이동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르면 12일 북러 정상회담이 열릴 것으로 보인다.

북한과 러시아는 이날 늦은 오후 동시에 김 위원장의 방러 소식을 전했다. 조선중앙통신은 "김 위원장이 푸틴 대통령의 초청으로 곧 러시아를 방문해 푸틴 동지와 회담을 진행하신다"고 밝혔다. 러시아 크렘린궁도 이날 브리핑에서 "김 위원장이 푸틴 대통령의 초청을 받아 수일 내(in coming days) 러시아에 찾아올 것"이라고 밝혔다고 타스통신이 보도했다.

우리정부 관계자도 “김정은이 탄 것으로 보이는 열차가 북동쪽을 향해 이동 중인 것으로 정보당국이 파악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 열차는 김 위원장의 전용 방탄열차인 ‘태양호’일 것으로 예상되며, 열악한 철로 환경에 따라 저속으로 이동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평양에서 블라디보스토크까지 거리는 1200㎞에 달한다. 하지만 김 위원장의 방탄열차가 워낙 무겁고, 북한 철로가 낙후돼 속도를 내기 쉽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2019년 4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북러 정상회담이 열렸을 당시에 비춰볼 때 열차로 20시간 이상 소요됐다. 

다만, 러시아 크렘린궁 대변인은 북러 정상회담 가능성에 대해 “EEF에서 그러한 접촉은 계획돼 있지 않다"고 밝힌 바 있어 김정은과 푸틴이 블라디보스토크가 아닌 제3의 장소에서 13일 만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11일 오전만 해도 김 위원장의 열차가 이동했다는 소식은 들리지 않았다. 하지만 국방부는 김 위원장의 러시아 방문 가능성이 있고, 푸틴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추진하는 것으로 평가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10일 북한 시찰단으로 추정되는 무리가 북한과 러시아의 접경지역인 연해주 하산역을 방문했다고 일본 TBS 계열의 민영방송 네트워크 JNN이 보도했다. 이들은 가슴에 북한 배지를 달고 있었으며, 역에선 청소와 페인트칠 작업이 이뤄진 것으로 전해졌다. 또 일본 민영방송 네트워크 ANN은 “하산역에 붉은 융단이 깔려 있다”는 소식도 전했다.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5일 북러 정상회담 후 만찬을 갖는 도중 통역을 사이에 두고 대화를 나누고 있다. 2023.4.25./사진=크렘링궁 홈페이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11일 블라디보스토크에 도착해 12일 동방경제포럼(EEF) 본회의에 참석할 예정이다. 

북러 정상회담은 EEF가 열리는 블라디보스토크 루스키섬에 있는 극동연방대에서 열리거나 혹은 일정을 늦춰서 하바롭스크주나 아무르주 등 다른 극동지역이나 모스크바에서 열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앞서 미국 뉴욕타임스는 미국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김 위원장이 EEF가 열리는 10~13일 사이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무기 거래 논의 등 군사협력을 의제로 푸틴 대통령과 북러 정상회담을 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뉴욕타임스는 김 위원장이 블라디보스토크 극동연방대 캠퍼스에 체류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또 북러 정상회담이 이뤄질 경우 푸틴 대통령은 북한의 포탄과 대전차 미사일을 원하고 있고, 김 위원장은 러시아의 위성 및 핵추진 잠수함과 관련한 첨단기술을 원한다고 전망했다.

10일까지도 평양에 머무르면서 정권수립 75주년(9.9절) 기념행사 관련 민방위무력 열병식 참가자들과 기념사진을 찍는 일정을 소화한 김 위원장의 출국이 임박해보이자 카멀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은 10일 “러시아와 북한 모두를 더욱 고립시킬 것”이라고 경고했다. 

해리스 부통령은 CBS와 인터뷰에서 “우크라이나에 대한 러시아의 이유 없는 전쟁과 그들(북한)이 러시아에 탄약을 공급할 것이라는 생각을 살펴보면, 전쟁이 어떻게 끝날지 예측할 수 있다”고 했다. 또 “러시아는 이미 전략적 실패를 경험했고, 그들이 절박하다는 것은 매우 분명하다. 우크라이나 사람들은 아직도 싸우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러시아정부는 이번 EEF에 북한과 중국, 벨라루스, 베트남, 인도, 카자흐스탄, 라오스, 미얀마, 싱가포르, 필리핀에서 대표단을 파견한다고 밝히면서 북한의 대표단을 누가 이끄는지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이는 4년 전인 2019년 4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북러 정상회담이 열렸을 때 회담 6일 전 러시아측이 회담 일정을 먼저 공개한 것과 대비된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