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문상진 기자] 아프리카 순방에 나선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에티오피아 정부에 정당성을 부여하는 듯한 발언으로 논란에 휩싸였다. 에티오피아 정부는 독재 정권이라는 여론의 비판을 받고 있다.

지난 5월 말 에티오피아 총선에서 집권 여당인 인민혁명민주전선(EPRDF)이 의석을 100% 석권한 데 대해 부정선거 의혹이 제기된 지 두 달 만에 오바마 대통령은 회견을 통해 논란의 여지가 있는 발언을 남겼다.

오바마 대통령은 "우리는 에티오피아의 역사와 이 나라가 겪었던 역경들에 매우 유념하고 있다"면서 "(에티오피아의) 선거가 민주적으로 선출된 정부의 탄생을 앞당겼다" 밝혔다며 28일 연합뉴스는 보도했다.

   
▲ 아프리카 순방에 나선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에티오피아 정부에 정당성을 부여하는 듯한 발언으로 논란에 휩싸였다. /YTN 방송화면


인권감시단체들에 따르면 5월 총선에서 에티오피아 정부는 야당 후보들의 등록을 방해하고, 돈과 지지자들을 동원했으며, 평화시위마저 불허하거나 참가자들을 체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과정에서 상당수 언론인들을 위협하거나 체포하고 언론사들의 문을 닫았다고 이들 단체는 전했다.

당시 미국 외교관들도 투표 참관인 신청을 거부당했고, 오직 아프리카연합(AU) 선거감시단만 참관을 승인받았다고 미 국무부는 밝혔다.

수전 라이스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도 지난주 브리핑에서 "에티오피아 총리는 100% 투표로 선출됐다. 공식 논평에서 밝혔듯 투표 절차의 진정성에 다소 우려가 나올 수 있다고 본다 "며 선거 결과를 신뢰할 수 없다는 뜻을 내비쳤다.

그럼에도 오바마 대통령이 에티오피아의 인권 문제를 '속시원히' 꼬집지 않은 것은 이 나라가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단체인 알샤바브 격퇴와 남수단 종족 갈등에서 중요한 파트너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NYT는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