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국 개입에 국채·수신금리 인상 겹친 탓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최근 은행권 대출금리가 상승세를 보이는 가운데, 전세대출 상단금리가 가파르게 오르며 연 7%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 미국의 긴축 장기화로 국채금리가 급등한 데다,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자제 요구, 예적금(수신)금리 상승으로 인한 조달비용 증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금리상승으로 이어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18일 은행권에 따르면 5대(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시중은행의 전세자금대출 금리(신규 코픽스(자금조달비용지수·COFIX) 6개월물)는 연 4.56~6.88%를 기록하고 있다. 하단금리는 국민은행이 연 4.56%로 최저를 나타냈고, 상단금리는 농협은행이 연 6.88%로 가장 높았다. 

   
▲ 최근 은행권 대출금리가 상승세를 보이는 가운데, 전세대출 상단금리가 가파르게 오르며 연 7%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사진=김상문 기자


코픽스 신잔액기준 6개월물 금리는 연 3.924~6.61%를 기록했는데, 하나은행의 '원큐 주택신보 전세자금대출'이 최저 연 3.924%로 비교군 중 가장 낮았다. 신한은행의 '쏠편한 전세대출(서울보증보험)' 금리는 연 4.00~5.40%에 불과했는데, 전세+월세대출 금리가 연 6.11~6.61%에 달해 격차를 보였다. 

이들 상품의 금리상승은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동결에도 불구, 미국의 긴축 장기화 우려가 시장금리에 영향을 미치면서 은행 조달금리 상승으로 이어진 영향이 크다. 또 당국이 대출 억제책을 강구하면서 은행들이 대출 가산금리를 높이고 우대금리를 내린 점도 대출금리 인상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지난 16일 공표된 코픽스 금리 인상은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지난달 신규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3.82%로 전달 3.66% 대비 0.16%포인트(p) 상승했다. 올해 최고치인 1월 3.82%와 동률을 이뤘다. 코픽스 금리는 지난 6월 3.70% 이후 두 달 연속 감소세를 보였는데, 이번 공시에서 급격한 상승세를 보였다. 

잔액 기준 코픽스는 3.88%로 전월 3.86% 대비 0.02%p 상승했고, 신 잔액기준 코픽스도 3.27%에서 3.29%로 0.02%p 올랐다. 

코픽스는 은행이 실제 취급한 정기 예적금 등 수신상품의 금리를 반영하는데, 은행이 수신금리를 올리면 자연스레 대출금리 인상으로 이어진다. 은행권은 지난해 강원도중도개발공사의 회생신청 사태를 계기로 고금리 수신상품 경쟁을 펼쳤는데, 이들 상품의 만기가 도래하면서 최근 수신금리 경쟁이 재점화되고 있다. 
 
금리를 대출신청 시점과 동일하게 유지하는 고정금리형 전세대출 상품은 연 4.15~6.892%로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다. 금융채 6개월물을 준거금리로 하는 상품들의 하단금리가 비교군 중 상대적으로 낮았는데, 연단위(1~2년) 고정금리만 놓고 보면 상단금리가 연 6.892%에 달했다.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에 공시된 은행채(AAA·무보증) 금리는 전날 △6개월물 4.023% △1년물 4.091% △2년물 4.348%를 각각 기록했다. 

채권 기간별 금리를 살펴보면 6개월물 금리는 연중 3% 중후반대를 형성했는데 추석 직전인 지난달 27일 3.991%를 기점으로 이달 4일 4.043%를 기록했고 쭉 4% 초반대를 유지하고 있다. 1년물 금리도 올해 1월 초 한 차례 4.027%(1월10일)를 기록한 이후 쭉 3% 중후반대를 형성했는데 지난달 중순(15일 4.006%)을 기점으로 4%대 금리가 공고해지고 있다.

2년물 금리는 올해 1월 10일 4.069% 이후 3% 중후반대 금리에서 오르내리다 올해 8월부터 4%를 돌파했다. 지난 4일에는 금리가 4.489%까지 치솟으며 올들어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주택담보대출에 이어 보금자리용 대출상품인 전세대출도 금리가 높아진 만큼, 서민들의 고통은 한층 가중될 전망이다. 

한 은행 관계자는 "미국발 고금리 장기화 우려로 시장금리가 상승한 상황에서 코픽스 금리도 올라 주담대에 이어 전세대출 금리가 크게 올랐다"며 "이번에(19일 열리는 금융통화위원회) 한은이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한데 최근 전쟁에 따른 유가인상 등 대외환경과 가계부채 관리 등으로 인해 대출금리가 추가로 인상할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