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문상진 기자]친 아베 성향 언론으로 분류돼온 요미우리 신문이 아베 신조 총리의 전후 70년 담화에 침략과 식민지배에 대한 사죄의 문구를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일본 보수 진영 내에서 침략과 식민지배에 대한 사실은 일반적으로 인정돼왔으나 '사죄'가 거론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아베 총리의 대응이 주목된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7일 요미우리 사설은 “아베 담화는 (무라야마 담화 인용형태로) 역대 내각의 견해에 입각해 간접적인 표현으로라도 침략과 식민지 지배에 대한 진심어린 사죄의 마음이 전해지는 말을 포함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아니면 전쟁으로 피해를 본 사람들의 마음에 울리는 총리 자신의 사죄의 말을 표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7일 요미우리 사설은 “아베 담화는 (무라야마 담화 인용형태로) 역대 내각의 견해에 입각해 간접적인 표현으로라도 침략과 식민지 지배에 대한 진심어린 사죄의 마음이 전해지는 말을 포함해야한다”고 주장했다./사진=연합뉴스 TV 캡처

이는 전날 아베 담화 관련 총리 자문기구인 '21세기 구상 간담회'에서 아베 총리에게 전달한 보고서에서 ‘침략’과 ‘식민지배’라는 용어와 함께 과거 전쟁에 대한 ‘통절한 반성’이라는 표현을 넣었지만 ‘사죄’는 거론하지 않은 것을 겨냥한 것으로 보인다.

발행부수가 1000만 부 안팎인 요미우리는 일본에서 가장 널리 읽히는 신문인데다 산케이 신문과 함께 친 아베 성향의 보수 신문으로 분류된다.

아베 총리가 여태 과거사와 관련한 ‘사죄’를 언급한 적이 없다는 점에서 아베 담화에서도 사죄가 빠질 공산이 커 보이지만 한국과 중국 정부가 사죄가 빠진 보고서 내용에 반발한 데다 요미우리가 사죄 표현을 거론한 것이 14일 담화 발표 때까지 막판 변수로 작용할지 주목된다.

같은 날 도쿄신문 사설은 “자문기구 보고서에 '식민지 지배와 침략'을 명기한 의미는 무겁다”고 전제한 뒤 “한반도와 대만 등에 대한 식민지 지배와 만주사변 이후 대륙 침략을 확대한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라며 “그 행위를 반성한다면 사죄하는 것도 자연스럽게 나오는 심정 아닌가”라고 주장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 사설은 아베 담화 자문기구의 보고서 내용에 대해 “국민 의식의 최대 공약수에 꽤 가까운 결론이 아닐까”라며 “총리는 전후 70년 담화에 이 견해를 반영하길 바란다”고 적었다.

마이니치 신문은 사설에서 “전후 70년 담화는 아베 총리가 개인의 역사관을 피력하는 공간이 아니라 일본을 대표하는 책임자의 말”이라며 “그 성격을 자각, 주변국과의 '화해'에 이바지하는 것으로 완성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아사히 신문은 사설도 "중국이나 한국과의 꼬인 관계를 타개하는 화해 메시지로서의 성격을 명확히 할 것"을 주문했다.

다만 산케이 신문 사설은 “사죄의 반복은 관계 개선을 낳지 않는다”며 “오히려 ‘역사 카드’에 의한 일본 공격을 초래한 것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라고 다른 목소리를 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