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은 7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을 통해 광복 70주년을 맞는 15일부터 표준시간을 기존에 사용하던 동경시보다 30분 늦춰 사용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정부는 개성공단 출입경 등 남북 교류 지장 초래, 남북 통합과 동질성 회복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우려하고 있다./사진=YTN 뉴스 캡처

[미디어펜=문상진 기자]북한이 이달 15일부터 표준시간을 기존보다 30분 늦추기로 한 것에 대해 역사학자를 앞세워 "일제 잔재를 숙청하는 민족사적 사변"이라며 정당화하고 나섰다.

조선중앙통신은 7일 "일제에 의해 말살됐던 조선의 표준시간을 되찾은 것은 사회생활의 모든 분야에서 일제 잔재를 완전히 숙청하는 데서 커다란 의의를 가지는 민족사적 장거"라는 내용을 담은 역사학 후보원사 조희승 북한 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장의 글을 소개했다.

조 소장은 삼국시대와 고려·조선시대의 시간 측정 제도 등을 들어 표준시 변경의 당위성을 내세우며 "표준시간을 제정하고 평양시간으로 명명한 것은 우리나라 역사에서 커다란 의의를 가지는 민족사적 사변"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현재 표준시에 대해 "일제가 일본 표준시를 조선에 적용 도입한 것은 시간 이용에서 조선 인민의 민족성을 말살하려는 흉심"이라며 "조선은 일제의 폭압 통치에서 해방됐으나 일제의 악랄한 식민지 통치의 잔재는 사회생활의 이모저모에 뿌리깊이 남아있었다"고 비판했다.

북한은 이날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을 통해 광복 70주년을 맞는 15일부터 표준시간을 기존에 사용하던 동경시보다 30분 늦춰 사용한다고 발표하고 내각과 해당 기관들은 이와 관련한 실무 대책을 세울 것이라고 밝혔다.

북한이 이처럼 독자적인 표준시를 갑작스럽게 채택했지만 북한의 경제 규모가 다른 나라에 비해 월등히 작아 상대적으로 혼란은 적을 것으로 보이며 독재국가의 일사불란한 시스템 특성상 변경된 제도의 적용도 빠르게 이뤄질 전망이다.

정부는 북한의 표준시 변경이 개성공단 출입경 등 남북 교류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 남북 통합과 동질성 회복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