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상일기자]한민구 국방부 장관이 북한의 비무장지대(DMZ) 지뢰 도발 사건과 관련해 대북 확성기 방송을 전면 확대하는 한편 그 외에도 추가적인 대북 조치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 장관은 12일 국회 국방위원회 긴급 현안보고에서 새누리당 유승민 의원의 '대북 확성기 방송 재개가 혹독한 대가의 전부냐'라는 질문에 "전부라 말하지 않고 우선적인 조치라고 답변드린다"고 말했다.
특히 '앞으로 혹독한 대가를 치르게 하는 추가 조치가 있느냐'는 질문에 "추가적인 여러 조치를 검토하고 있다. 그렇게 (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 장관은 다만 '추가 조치를 결정했느냐'는 질문에 "검토와 과정이 필요하다고 본다"면서 "시기와 방법, 내용 등에 대해 이 자리에서 (공개적으로) 말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말했다.
한 장관은 대북 확성기 방송과 관련, "우선 조치로 2개소를 했는데 현재 시점까지 4개소에서 확성기 방송을 하고 있다. 전면적으로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새누리당 한기호 의원이 "여러 수단을 동원해 대북물포작전(생필품을 기구에 담아 북한지역에 보내는 것)을 해야 하고, 북한에 보내는 삐라를 다 하고, 북한에 TV방송을 하고, 전광판을 다 켜야 한다"고 지적하자 "의원님께서 말한 여러가지 사안은 저희도 검토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한 장관은 다만 지뢰도발 지점과 제일 가까운 북한군 233 GP(전방감시초소)를 사격·폭파하는 계획을 고려한 것으로 알려진 데 대해 "그런 얘기는 언론에서 하는 얘기로 (폭파)하고 안하고는 결정된 바 없다"고 답했다.
한 장관은 이번 사건을 계기로 대북 응징·보복의 개념을 재검토해야 한다는 새누리당 송영근 의원의 주장에 대해 "이런 상황에 대비해서 다시한번 검토하고 발전시킬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 장관은 이밖에 지뢰폭발 당시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보고 시간을 묻는 질문에 오전에는 "확인하지 못했다. (사건과) 동시에 계통을 통해 상황이 보고되고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통해 대통령이 보고받았을 것으로 본다"고 답변했다.
그러나 대통령 보고 시점을 둘러싼 논란이 계속되자 오후 질의에서 "국가안보실에서는 4일에 지뢰사고 상황보고를 대통령께 드렸고, 5일에 이것이 북한의 목함지뢰로 추정된다는 보고를 드렸다"며 구체적인 보고 시점을 확인해 공개했다.
한 장관은 이번 사건이 DMZ 경계 실패라는 지적에 대해 "우리 군은 MDL상 적의 활동에 유념하며 대비해왔다"며 "이번 사건과 관련해 전술적인 차원에서의 여러 아쉬운 점이 두어가지 있지만 전체적으로 경계실패라 단정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그(사건발생) 지역은 GP에서는 사각지역(사각지대)이고, 후방에 있는 OP로부터도 사각지역이다"고 덧붙였다.
그는 "금년초 북한의 DMZ 내 활동, 자기측 지역의 지뢰 매설활동을 유의 깊게 보고 7월초에는 관계자들과 회의도 하고 대책 논의도 했는데, 우리측에 매설한다는 여러 정황이나 정보를 감지한 것은 없었다"고 밝혔다.
한 장관은 이날 회의 모두발언에서 "북한군의 의도적, 불법적 도발행위는 정전협정과 남북간 불가침합의를 위반한 것으로 우리군은 북한의 도발에 응당하는 혹독한 대가를 치르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