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집값하락 여파 통계 작성 11년 만에 역신장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우리나라 가구 자산 평균값이 해당 조사를 시작한 2012년 이후 첫 감소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 우리나라 가구 자산 평균값이 해당 조사를 시작한 2012년 이후 첫 감소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사진=김상문 기자


부동산의 영향이 컸는데, 장기화되는 고금리로 지난해 집값 하락이 두드러지면서 국민들의 자산에 악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한편 고금리 영향으로 집안 살림도 어려워졌는데, 이자비용은 약 18% 넘게 늘어났다.

7일 통계청·한국은행·금융감독원이 공동 수행한 '2023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 가구 평균 자산은 1년 전보다 3.7%(2045만원) 감소한 5억 2727만원으로 집계됐다. 가구 평균 자산이 줄어든 건 해당 조사를 시작한 2012년 이후 11년 만이다. 최초 통계 집계 이래 첫 감소인 셈이다.

   
▲ 2023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자료=통계청 제공


자산 감소의 주 원인은 집값 하락이었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가구 금융자산은 3.8% 증가한 반면, 실물자산은 5.9% 감소했다. 이 중 실물자산의 감소는 부동산 중 거주주택이 10.0% 감소했기 때문이었다.

가구 부채는 9186만원으로 전년보다 0.2%(17만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금융부채가 1.6%(6694만원) 감소한 반면, 임대보증금은 5.3%(2492만원) 증가한 데 따른 결과다.

이로써 자산에서 부채를 뺀 가구 순자산은 1년 전보다 4.5%(2062만원) 줄어든 4억 3540만원을 기록했다.

가구 평균 소득은 지난해보다 4.5% 증가한 6762만원, 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뺀 처분가능소득은 3.7% 증가한 5482만원으로 각각 나타났다. 

   
▲ 2023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자료=통계청 제공


소득 증가는 대부분 근로소득이 증가한 덕분이었다. 원천별로 보면 근로소득이 4390만원으로 전년 대비 가장 큰 6.4%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사업소득은 1206만원으로 4.0% 늘었고, 재산소득도 436만원으로 2.5% 증가했다. 반면 공적이전소득은 4.8% 줄어든 625만원에 그쳤다.

가구 소득 분포는 1000만~3000만원 미만이 21.6%로 가장 많았는데, 1억원 이상 가구도 20.0%를 차지해 괴리를 보였다. 1000만원 미만은 5.2%로 나타났다.

가구의 비소비지출은 1280만원으로 8.1% 늘어났다. 세부항목별로 공적연금·사회보험이 8.2% 증가한 433만원, 세금이 4.1% 증가한 416만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특히 '이자비용'은 18.3% 급증한 247만원에 달했는데, 이는 통계 집계 이후 가장 큰 증가율이다. 이에 이자비용이 전체 비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년 전보다 1.7%p 늘어난 19.3%로 조정됐다. 공적연금·사회보험료는 33.8%, 세금은 32.5%로 1년 전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축소됐다.

가계의 원리금 상환액은 평균 100만원 늘어난 1259만원으로 집계됐다. 원리금 상환이 생계에 주는 부담에 대해 금융부채 보유가구의 67.6%는 '부담스럽다'고 응답했다. 이는 지난해 64.4% 대비 약 3.2%p 상승한 수치다.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