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후추위, 31일 회장 최종 후보 공개
공정성 논란 잠재우기 위해 내부 3명·외부 3명 균형
업계 내에서는 내부 인물에 무게…김지용·전중선 거론
[미디어펜=박준모 기자]포스코 차기 회장 윤곽이 드러났다. 포스코 전현직 출신 3명과 외부 출신 3명으로 구성된 후보 명단이 공개되면서 차기 회장 선임에도 속도가 붙고 있다. 오는 8일에는 6명 중 최종 후보 1명이 공개될 예정이다.

그동안 한 차례를 제외하고 모두 포스코 출신 인사들이 회장직에 오른 것을 감안하면 이번 후보에 외부 출신 인사가 3명이나 포함된 것은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차기 회장에 대해서는 내부와 외부를 놓고 의견이 갈리고 있지만 업계 내에서는 내부 출신 인사가 유력하다고 보고 있다. 

   
▲ 포스코 차기 회장 후보. 김지용 포스코홀딩스 미래연구원장(왼쪽 위부터), 장인화 전 포스코 사장, 전중선 전 포스코홀딩스 사장, 권영수 전 LG에너지솔루션 부회장(왼쪽 아래부터), 김동섭 현 한국석유공사 사장, 우유철 전 현대제철 부회장./사진=포스코홀딩스 제공


◆차기 회장 후보, 면면을 살펴보니...

1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홀딩스 CEO후보추천위원회(이하 후추위)는 지난 31일 8차 회의를 열고 회장 후보 ‘파이널리스트’ 6명을 공개했다.

후추위가 공개한 차기 회장 후보는 권영수(전 LG에너지솔루션 부회장), 김동섭(현 한국석유공사 사장), 김지용(현 포스코홀딩스 미래연구원 원장/사장), 우유철(전 현대제철 부회장), 장인화(전 포스코 사장), 전중선(전 포스코홀딩스 사장)이다.

먼저 포스코 현직에서는 김지용 포스코홀딩스 미래연구원장 사장이 이름을 올렸다. 1962년생인 김지용 사장은 1992년 포스코에 입사해 신소재사업실장, 인도네시아 PT‧KP 법인장, 광양제철소장, 안전환경본부장을 역임했다. 지난해 1월부터는 포스코그룹의 친환경 미래소재 분야의 연구‧개발(R&D)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고 있는 미래연구원 신임 원장으로 재직 중이다.

포스코 OB 출신으로는 장인화 전 포스코 사장과 전중선 전 포스코홀딩스 사장이 후보에 올랐다. 

장인화 전 포스코 사장은 1955년생으로 1988년 포항산업과학연구원에 입사했다. 이후 포스코건설(현 포스코이앤씨) 기반기술연구팀장,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상무를 거쳤다. 포스코에서는 기술투자본부장, 신사업실장, 철강생산본부장 등을 맡았으며 2018년부터 2021년까지 포스코 대표이사 사장을 지냈다. 2021년부터 현재까지 포스코 자문역으로 활동하고 있다.

1962년생인 전중선 전 포스코홀딩스 사장은 1987년 포스코에 입사했다. 포스코 원료구매실장, 가치경영실장을 거쳐 포스코강판(현 포스코스틸리온) 대표이사 사장을 맡았다. 이후 다시 포스코로 돌아와 가치경영센터장, 전략기획본부장, 글로벌인프라부문장을 거쳤다. 지주사 전환 이후로는 포스코홀딩스 대표이사 사장에 선임됐으며, 2023년 3월부터 현재까지 상임고문으로 활동하고 있다.

외부 출신으로는 권영수 전 전 LG에너지솔루션 부회장이 이름을 올렸다. 권 전 부회장은 1957년생으로 1979년부터 지난해 12월까지 44년 간 LG에 몸을 담은 ‘LG맨’이다. LG전자 사장, LG디스플레이 사장, LG화학 사장, LG유플러스 부회장, LG 대표이사 등 LG그룹의 주요 요직을 거쳤다. 2021년부터는 LG에너지솔루션을 이끌면서 회사를 글로벌 배터리 기업으로 성장시켰다는 평가도 받고 있다. 

김동섭 한국석유공사 사장도 차기 회장 후보다. 김동섭 사장은 1957년생으로 SK에너지, SK이노베이션 기술원 원장 등을 지냈다. 울산과학기술원에서 산업공학과 교수와 정보바이오융합대학 학장으로 재직했으며, 2021년 한국석유공사 사장에 임명됐다.

또 다른 차기 회장 후보인 우유철 전 현대제철 부회장은 1957년생으로 현대중공업에 입사해 현대우주항공, 현대모비스, 현대로템을 거쳤다. 2004년부터 2018년까지 현대제철 부사장·사장·부회장을 역임하며 철강업계에 몸담았으며, 2018년 현대로템 부회장 자리에 올랐다.

김학동 포스코 부회장과 정탁 포스코인터내셔널 부회장이 내부 인사로 회장 후보에 오를 것으로 예상됐지만 결국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또 김만제 4대 회장을 제외하면 그동안 포스코 내부에서 회장직이 모두 나왔는데 외부 인사를 3명이나 후보에 올렸다는 사실도 눈에 띄는 점이다.

이에 대해 후추위가 호화 해외 출장 의혹으로 경찰 수사를 받고 있는 상황에서 공정성 논란을 피하기 위해 최 회장 후보의 측근과 외부 인사를 대거 포함시킨 것이라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재계 관계자는 “회장 선출 과정에서 공정성 논란이 불거지고 있는 만큼 이를 잠재우기 위한 후보를 내세운 것으로 보인다”며 “내부 후보 3명과 외부 후보 3명이 동일하게 후보를 낸 것도 마찬가지라고 본다”고 말했다. 

   
▲ 서울 포스코센터 전경./사진=포스코홀딩스 제공


◆권영수 vs 포스코 내부인사?…'외압‧방탄인사' 논란 피해갈까

차기 회장을 두고 내부 인사가 될 것인지 외부 인사가 될 것인지에 대한 의견은 팽팽하게 갈린다. 

포스코그룹 회장은 대외 활동에 주력하는 만큼 외부 인사가 적합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철강사업을 담당하는 포스코를 내부 인사가 이끌면 된다는 논리다. 또 이차전지 사업 등 포스코그룹의 미래사업 육성을 위해서는 외부 인사가 필요하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 

외부 인사 중 가장 유력한 후보는 이차전지 전문가로 꼽히는 권영수 전 LG에너지솔루션 부회장이다. 김동섭 한국석유공사 사장의 경우 포스코그룹이 이차전지 소재 사업을 영위하는 만큼 관련이 있을 수 있지만, 다소 무게감이 떨어진다. 우유철 전 현대제철 부회장의 경우 이미 은퇴한 지 꽤 된 데다 업계 2위 기업의 수장이었다는 만큼, 현실성이 떨어진다. 

다만 철강업계 내에서는 여전히 내부 인사의 회장 선임에 무게를 두고 있다. 포스코그룹은 여전히 철강을 핵심으로 하고 있으며, 친환경 생산체제를 구축해가는 과정에서 철강 이해도가 높은 인물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실제 포스코는 자체 수소환원제철 공법인 ‘하이렉스(HyREX)’ 시험설비는 2027년까지 준공하고, 2030년까지 하이렉스 기술을 완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포스코 내부에서는 장인화 전 포스코 사장과 전중선 사장을 유력하게 보고 있다. 오히려 김학동 부회장이 인망이 높았던 만큼 최종 후보에 오르지 못한 것이 아쉽다는 평이 나온다. 

장인화 전 사장은 오랜 기간 만큼이나 포스코 각 부문을 두루 거친 산 역사와 같은 인물이다. 이전 회장 선거에서도 유력한 후보였었다. 신사업 실장과 철강생산본부장을 역임했던 만큼 각 사업에 두루 경험이 많다. 

또 전중선 전 사장은 현재의 포스코를 만들어왔다는 점이 좋은 평가를 받는다. 글로벌인프라부문장을 맡으며 포스코의 비철강 사업 부문을 직접 총괄하기도 했으며, 포스코그룹의 지주사 체제 전환도 주도하기도 했다.

유력 후보들이 대부분 외압과 방탄인사 논란에서 자유롭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권영수 후보는 이미 정부 추천 인사로 논란이 있었고, 전중선 전 사장은 최정우 회장의 최측근으로 알려져 있는 인물이다.


◆알 수 없는 인사..."미래 포스코를 최우선으로 생각해야"

포스코 회장 선임은 사실 의외의 인물이 선정된 사례가 많았다. 권오준 전 회장과 최정우 회장이 대표적 사례다. 유력 후보군이 아니었지만 회장으로 발탁돼 본원 경쟁력 확보와 미래 경쟁력 확보에 힘을 보탠 인물들이다.

그렇기에 김지용 포스코홀딩스 미래연구원장 사장 역시 깜짝 발탁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김지용 사장은 철강에 대한 이해도가 높으면서도 포스코의 미래사업인 친환경 미래소재 조직을 이끌고 있다는 점에서 높은 점수를 줄 수 있다.

특히 외부 압력과 방탄 인사 논란을 잠재울 인물이기도 하다. 

이번 후보군의 특징 중 하나는 나이가 많다는 점이다. 포스코 내부와 업계 내에서는 '경로당'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60대 중반이 넘은 후보가 4명이나 된다. 이 때문에 60대 초반인 전중선 전 사장과 김지용 사장에 무게를 두는 이들도 적지 않다. 

결국 의견이 분분해 이사회가 누구를 선택할 지는 끝까지 지켜봐야 할 전망이다. 국민연금이 입장을 밝힐지도 미지수다. 국민연금이 입장을 발표하면 사실상 외압 논란을 피해가기 어려우면서도 이사회 결정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변수가 될 수 있다.

업계 내 한 관계자는 “현 이사회가 논란이 있는 만큼 어느 때보다 어려운 결정을 앞두고 있다”면서도 “외압이나 방탄 인사에 붙잡히지 말고 포스코의 미래를 이끌 최적의 수장을 뽑는데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미디어펜=박준모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