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나리아바이오 '거래정지'…"보유종목 감사보고서 제출 살펴야"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매년 3월이면 반복되는 관리종목 지정‧상장폐지 이슈가 올해도 증권가를 긴장하게 만들고 있다. 이미 사료 전문회사 카나리아바이오가 지난달 29일부로 사실상 ‘무기한 거래정지’ 처분을 받아 파문이 일었다. 전문가들은 한순간에 거래정지가 되는 사례가 추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만큼 투자에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 매년 3월이면 반복되는 관리종목 지정‧상장폐지 이슈가 올해도 증권가를 긴장하게 만들고 있다./사진=김상문 기자


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올해도 어김없이 증권가에 이른바 ‘상폐 시즌’이 돌아왔다. 대부분의 기업들은 12월 결산을 하기 때문에 다음 해 3월엔 감사보고서를 제출해야 한다. 일반적으로는 3월15일을 전후로 다수 회사들이 감사보고서를 제출하는 경우가 많다. 늦어도 주주총회 1주일 전까지는 보고서 제출이 완료돼야 한다. 

만약 감사보고서가 제때 제출되지 않았다면 그때부턴 투자에 ‘적신호’가 뜨게 된다. 정상적인 상황이라면 절대 일어나선 안 될 일이기 때문이다. 설령 보고서가 제출됐다 해도 결산과 관련해서 관리종목 지정이나 상장폐지 이슈가 발생하는 종목들은 추가될 수 있다. 주식투자자들에게 3월이 ‘공포의 달’인 이유다. 반면 관리종목들 가운데서 지정사유를 해소한 회사들이라면 ‘관리종목 해제’라는 호재를 띄울 수 있는 반전의 시간이기도 하다.

지난 2월 ‘관리종목지정·형식적 상장폐지·상장적격성 실질심사 사유 발생’ 공시를 낸 상장사는 총 18개사로 집계된다. 쉽게 말해 관리종목 지정이나 상장폐지 사유의 발생 우려가 제기됐다는 의미다. 이 중에서 11개사는 이미 거래정지가 된 상태다.

이 가운데 최근 사례로 카나리아바이오가 눈에 띈다. 현대사료라는 사명으로 식량 테마주 분야에서 자주 두각을 드러내다가 카나리아바이오로 사명을 바꾼 이 회사는 지난달 29일 오후 5시26분을 기점으로 주식 매매거래가 정지됐다. 한국거래소는 거래정지와 함께 상장폐지사유 발생 우려 및 관리종목 지정 우려 공시를 함께 발표했다.

현재까지 알려진 상황을 종합하면 카나리아바이오는 완전자본잠식 상태로 알려졌다.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카나리아바이오는 내부결산 결과 완전자본잠식과 자기자본의 50%를 초과하는 법인세비용 차감전 사업손실이 확인됐다’고 공지했다. 

이는 재무제표상 자본총계가 자본금보다 적어졌음을 의미하며, 회사가 극심한 자금난에 봉착해 회사를 설립할 때 들어간 자본금을 쓰게 됐다는 사실을 뜻한다. 이미 카나리아바이오는 2022년 3059억원, 2023년 1537억원의 적자를 내며 자본금을 뛰어넘는 손실을 냈다.

특히 카나리아바이오가 자회사를 통해 보유하고 있던 주요 무형자산 ‘오레고보맙’에 대한 손상차손에 발목을 잡혔다. 사명변경과 함께 바이오 사업에 진출한 카나리아바이오는 지난 1월 오레고보맙의 글로벌 임상 3상에 대해 임상시험 중단을 권고받았다고 밝혔다. 

사실 이번 사태 이전부터도 ‘전조’가 있었다. 작년 7월 남부지방검찰청은 오레고보맙을 이용해 주가조작을 펼친 이준민 등 카나리아바이오 관계자들을 무더기로 기소하며 시선을 집중시켰다. ‘관계자’에는 오레고보맙 자산가치를 부풀려 작성한 회계사와 회계법인 관련자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지며 논란이 일었다. 

더욱이 사태가 진행되는 와중에 카나리아바이오의 주요 주주들이 지난 1월부터 주식을 전량 매도한 것으로 알려지며 주가 폭락이 시작됐다. 지난 1월까지만 해도 5000원 안팎이었던 카나리아바이오 주가는 거래정지 직전 시점엔 899원까지 떨어졌다. 주주토론방을 비롯한 다수의 온라인 주식 커뮤니티에선 상장폐지를 기정사실화하는 의견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문제는 유사한 사례가 추가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럼에도 결산 관련 내용은 사실상 내부정보이기 때문에 일반 투자자들이 선제적인 대응을 하기는 어렵다. 증권업계 한 관계자는 “감사보고서 제출 시한을 지키지 못하는 경우는 이유 여하를 막론하고 투자를 재고해야 한다”고 전제한 뒤 “거래소와 금융당국이 상폐 문제와 관련해 점점 더 엄격한 스탠스를 취하고 있는 만큼 주식투자 기준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