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물관리기술 발전 및 물산업 진흥 기본계획 심의·의결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정부가 오는 2028년까지 물관리 기술 수준을 85%로 끌어 올려 현재 47조 원 규모 물시장을 60조 원까지 확대하겠다는 그림을 그렸다.

   
▲ 환경부 정부세종청사./사진=미디어펜


대통령 직속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15일 이우일 부의장 주재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7회 심의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제2차 물관리기술 발전 및 물산업 진흥 기본계획(안)' 등 2개 안건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는 대통령을 의장으로 하는 과학기술 분야 최상위 의사결정 기구로, 과학기술 분야별 중장기 정책과 기술 확보 전략, 국가연구개발 제도 개선 및 예산 배분 등 안건을 심의한다.

이날 회의에서 심의·의결된 제2차 기본계획은 향후 5년간(2024~2028년) 물관리기술과 물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필요한 정책 방향 및 그에 따른 추진전략과 중점 추진과제 등을 제시하는 법정계획이다. 

정부는 이번 계획에서 '미래 핵심 물관리기술 선점을 통한 물산업 강국 실현'이라는 비전 아래 4대 중점 추진전략을 제시했다.

먼저 향후 5년간 약 4100억 원을 투자해 미래 물산업을 견인할 핵심 물관리 기술을 중점 개발한다.

최근 홍수·가뭄 등이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기후 위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물관리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수량 등 수자원 정보를 디지털 기술로 관리하고, 집중호우 시 하류 하천 상황을 고려한 댐 방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댐-하천 가상모형(디지털 트윈)을 도입하는 등 물관리 기술개발에 중점 투자한다. 디지털 기술을 접목해 상‧하수도 시설을 자동 제어하는 스마트 물관리 등에도 선도적으로 투자해 물산업 성장을 도모한다. 

신산업 육성과 물산업 혁신 성장을 지원해 현재 47조 원 규모 물시장을 2028년까지 60조 원 규모로 키워나간다.

모든 불순물을 제거한 물인 초순수는 우리나라 핵심 산업인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생산 공정에 필수적인 소재다. 세계 초순수 시장이 2021년 28조 원에서 2040년 54조 원으로 크게 성장할 것이란 전망이 나옴에 따라, 정부는 초순수 기술을 국산화하기 위해 연구개발 및 실증과 인력양성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초순수 플랫폼센터 조성을 추진한다.

또한 춘천 소양강댐을 필두로 댐의 차가운 용수를 데이터센터 냉각에 활용해 전력 소비를 줄이는 수열에너지 클러스터 등 물-에너지 융복합 산업을 육성한다. 혁신적인 유망 기술을 보유한 창업 기업에 사업자금을 지원하고, 기업 성장단계별 맞춤형 지원으로 물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한다. 

장기적 안목의 물산업 해외 진출 전략에 따라 현재 약 3조 원 규모의 수주‧수출을 2028년까지 5조5000억 원으로 확대시킨다. 

물산업 해외 진출에 가장 큰 애로사항 중 하나로 꼽히는 현지의 인증‧검증 및 실증 지원과 개별기업 맞춤형 수출전략 상담, 수출 활동 자금지원 등 해외 진출 지원 기반을 강화한다. 개발도상국의 물관리 정책 수립을 지원하고, 공적개발원조(ODA)를 확대함으로써 해당 국가 물 문제를 해결하면서 우리나라 물기업이 진출할 수 있는 사업도 발굴한다. 

그간 동남아시아 등 개발도상국 위주 수주·수출에서 벗어나, 상하수도 분야에 대규모로 투자하고 있는 선진국 시장도 개척한다. 미국 시장 진출에 필수적인 미국 환경국가표준 인증(NSF) 취득을 대행하는 서비스와 선진국 15개 인증에 대한 국내 사전 시험서비스를 제공한다. 수주지원단도 체계적으로 운영해 기업의 해외 수주를 밀착 지원한다. 

아울러 미래 성장을 이끄는 인재를 맞춤형으로 육성한다. 현장 중심의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해외 연구기관과 공동연구도 확대한다. 초순수·물에너지와 첨단 물관리 등에 관한 교육과정을 운영해 미래 물산업을 견인할 융합형 혁신 인재를 집중 양성한다. 

이 같은 물시장 성장을 통해 2028년까지 3만 명의 물산업 일자리를 추가 창출해 총 23만 명의 물산업 일자리를 마련할 계획이다.

이우일 부의장은 "최근 우리 과학기술계가 연구개발 시스템 측면에서 조금씩 변화가 시작되고 있다"며 "실패 가능성이 높지만 파급력이 높은 R&D사업에 과감하게 도전할 수 있는 선진화된 R&D시스템 구축을 통해 생태계 역동성을 높여 나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