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부동산PF 연착륙 방안 관련 시장동향 점검회의 개최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해외 일정을 소화 중인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국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위기와 관련해 외국인 투자자들의 불안이 크지 않다고 강조했다. 다만 일부 취약한 중소금융사나 건설사 등의 손실이 시장의 주목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금융권에 대한 철저한 관리 및 '질서있는 연착륙'을 주문하고 나섰다. 

   
▲ 해외 일정을 소화 중인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국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위기와 관련해 외국인 투자자들의 불안이 크지 않다고 강조했다. 다만 일부 취약한 중소금융사나 건설사 등의 손실이 시장의 주목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금융권에 대한 철저한 관리 및 '질서있는 연착륙'을 주문하고 나섰다./사진=금융감독원 제공


금감원은 이 원장이 16일 오전 10시 서울 본원, 뉴욕·런던 사무소를 화상으로 연결해 시장동향 점검회의를 가졌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는 부동산 및 금융시장 전문가와 함께 정부의 부동산 PF 연착륙 방안 발표 이후 시장상황을 진단하고 향후 대응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최근 당국이 새롭게 발표한 사업성 평가기준과 관련해 이 원장은 시장이 스스로 옥석을 판별하고 대비하도록 하는 등 불확실성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또 "PF 연착륙 방안 발표 이후에도 PF-ABCP는 차환발행이 원활하고, 발행금리도 안정적인 등 자금시장 이상징후가 없다"며 "외국인 투자자들도 우리 경제 펀더멘털에 대한 신뢰를 지속 보이는 등 전반적인 우리 금융시장은 견조한 모습이라고 평가하고 있다"고 전했다. 

PF-ABCP 발행금리는 1월 한때 4.56%에 달했지만 3월 중 4.22%까지 떨어졌고, 이달 들어 4.02%까지 하락했다. 주식시장에서도 외국인의 순매수가 6개월 연속 이어지고 있는 만큼, 한국 금융시장에 대한 불안은 크지 않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다만 이 원장은 사업성이 부족한 PF 사업장 정리과정에서 일부 취약한 중소금융사나 건설사 등의 손실이 시장의 주목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들어,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이번 대책이 시장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PF시장의 자금 선순환을 촉진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후속조치들을 속도감있게 추진하고 빈틈없이 관리하라"고 주문했다.

구체적으로 △개선된 평가기준에 따라 금융권에 대한 엄정한 평가 △현장점검 등을 통한 사후관리 강화 △민간 차원의 수요기반 확충과 인센티브 방안의 철저한 준비 및 조속한 실행 △5월 중 건설업계와 추가 간담회 추진 △PF에 민감한 금융회사별 건전성 및 유동성 상황 정밀 분석 및 PF-ABCP, 건설채 발행·상환 및 금리 동향 밀착 모니터링 등을 지시했다.

그러면서 이 원장은 뉴욕 IR 준비과정에서 국내 PF 문제에 대해 해외 투자자들도 높은 관심을 표명하고 있다는 분위기를 전하며, 철저한 현장관리를 당부했다. 

이 원장은 "선진국들도 고금리 상황에서 과도한 레버리지에 기인한 부동산 금융의 위험성 평가 및 대응방안 마련이 매우 중요한 과제"라며 "앞으로 부동산 PF의 질서있는 연착륙 방안이 계획대로 실행될 경우 우리나라 금융에 대한 해외의 신뢰 강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