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물류 자산 시장에만 16억달러 투자…인바운드 투자 회복세
[미디어펜=최인혁 기자]지난해 국내 상업용 부동산 시장에 해외 자본이 3조 원 이상 유입돼 이른바 '인바운드 투자'가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글로벌 부동산 서비스 기업 CBRE코리아가 발간한 '2023년 국내 인바운드 및 아웃바운드 투자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에 투자된 해외 자본 규모는 총 23억 달러(약 3조1797억 원)에 달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코로나19 이전(2015~2019년) 5년 여치의 평균과 비슷한 수준이다. 코로나19 시기인 2020∼2022년 인바운드 투자는 연평균 19억 달러 수준이었다.

   
▲ 지난해 국내 상업용 부동산 시장에 해외 자본이 3조원 이상 유입된 것으로 알려졌다.(자료사진) /사진=김상문 기자


인바운드 투자는 국내 물류 자산 시장에 역대 최대수준인 16억 달러가 투자되면서 회복세를 견인한 것으로 파악됐다. 

국가별로는 미국이 전체 투자액의 43%로 1위를 차지했으며, 싱가포르가 28%로 그 뒤를 이었다. 이어 캐나다 투자회사 브룩필드가 인천의 대형 물류센터를 인수한 영향으로 캐나다가 3위를 차지했다. 

미국과 캐나다 등 미주 자본이 전체 인바운드 투자의 66%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 중 4분의 3 이상은 물류 자산 시장에 투자된 것으로 알려졌다.

보고서는 "올해도 신축 A급 물류 자산에 대한 선호도가 지속 관찰되는 동시에 투자자는 가격 조정을 기대하며 국내 부실 자산에 대한 매입 기회를 모색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해외 자본이 물류 자산 시장에 대한 투자를 집중하면서 국내 오피스 투자 규모는 전년보다 47% 감소했다.

국내 오피스의 가격 조정폭이 제한적이고, 미주와 유럽 오피스 시장 리스크가 확대돼 오피스 포트폴리오 축소 전략을 세우고 오피스 자산 투자에 관망세를 유지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미디어펜=최인혁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