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경제 성장률 1.36%
[미디어펜=이승규 기자] 지난해 우리나라의 경제 성장 기여도 중 대부분을 수출이 이끈 것으로 나타났다. 

   
▲ 무협, 수출의 국민경제 기여 효과 분석 보고서 캡처.


2일 한국무역협회 '2023년 수출의 국민 경제 기여 효과 분석' 보고서 따르면 지난해 경제 성장률은 1.36%로 집계됐다. 이 중 수출의 성장 기여도는 1.17%로 지난해 경제 성장률의 86.1%를 견인했다. 또 GDP(국내총생산)에서 수출이 차지한 비중도 2020년대 들어 가장 높은 35.7%를 기록했다. 한국무역협회 관계자는 "지난해 우리나라 수출은 생산·부가가치·고용 유발에 크게 기여함으로써 국내 경제 성장을 주도했다"고 전했다.

또 한국무역협회는 지난해 수출 생산유발액이 지난해 1조2300억 달러를 기록했다고 추정했다. 이는 2020년 기록했던 9902억 달러 대비 23.9%가 증가한 수치다. 

품목별 생산 유발액은 자동차가 2313억 달러로 가장 높았으며 반도체가 1434억 달러로 그 뒤를 이었다. 기초화확물질과 석탄 및 석유제품은 각각 774·764억 달러를 기록했다.

지난해 수출이 유발한 부가가치가 우리나라의 실질 국내총생산에 차지하는 비중은 26.7%로 전년 동기 대비 2.8% 상승했다. 총 수출이 국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부가가치율도 64.6%를 넘어서며 2020년 대비 0.4% 증가했다. 특히, 특수목적용 기계, 일반목적용 기계, 자동차 수출의 부가가치율은 70%를 상회했다. 

수출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취업자 비율도 증가했다. 지난해 수출 100만 달러 당 취업 유발 인원은 7.6명인데 이는 사상 최대 수치를 기록했던 2022년(7.3명)을 넘어섰다.

[미디어펜=이승규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