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제약받아 온 군사분계선 일대 군사훈련 가능"
"북한 도발에 대한 즉각적 조치 가능, 정당하고 합법적"
[미디어펜=김규태 기자]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은 남북 간 상호 신뢰가 회복될 때까지 9·19 군사합의 전체의 효력을 정지하는 안건을 오는 4일 예정된 국무회의에 상정하기로 했다.

국가안보실은 3일 오전 11시 김태효 1차장(국가안전보장회의 사무처장) 주재로 NSC 실무조정회의를 개최하고, 전날 열렸던 NSC 긴급 상임위원회 결정사안의 추진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열린 NSC 실무조정회의 참석자들은 최근 북한의 일련의 도발이 우리 국민들에게 실제적인 피해와 위협을 가하는 상황에서, 이미 북한의 사실상 폐기선언에 의해 유명무실화 된 '9.19 군사합의'가 우리 군의 대비 태세에 많은 문제점을 초래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특히 이에 따라 NSC 회의 참석자들은 남북 간 상호 신뢰가 회복될 때까지 '9.19 군사합의' 전체의 효력을 정지하는 안건을 4일 국무회의에 상정하기로 결정했다.

   
▲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전경. /사진=미디어펜


국가안보실은 이러한 조치에 대해 "우리 법이 규정하는 절차에 따른 정당하고 합법적인 것"이라며 "그동안 9.19 군사합의에 의해 제약받아 온 군사분계선 일대의 군사훈련이 가능해지고 북한의 도발에 대한 우리의 보다 충분하고 즉각적인 조치를 가능하게 해 줄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한 안보실은 "정부는 우리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켜 나가기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강구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날 회의 참석자들은 북한이 도발을 지속할 경우 이에 상응하는 조치를 추가적으로 취해 나가기로 하고 회의 결과를 윤석열 대통령과 NSC 상임위원들에게 보고했다.
  
이날 회의에는 김태효 NSC 사무처장을 비롯해 김홍균 외교부 1차관, 김선호 국방부 차관, 황원진 국가정보원 2차장, 김병대 통일부 통일정책실장, 인성환 국가안보실 2차장 등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