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박재훈 기자]국가 간 이차전지 경쟁이 심화하는 가운데, 정부가 이차전지 공급망 다변화를 위해 방안 모색에 속도를 내고 있다. 기존 중국에 의존도가 높았던 공급망 체계에서 위험요소를 줄이고 경쟁력을 키우기 위함이다.
최근 윤석열 대통령은 한-아프리카 정상회담에 앞서 아프리카와의 핵심광물 협력 관계를 키우겠다고 밝히는 등 정부도 공급망 다변화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
|
|
▲ 포스코퓨처엠 배터리 음극재 공장./사진=포스코퓨처엠 |
3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가 이차전지 핵심광물에 대한 공급망 다변화를 통해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업계 경쟁력을 키우기 위한 계획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차전지에 있어 핵심광물 공급망은 꾸준히 개선해야 할 문제로 거론돼 왔다. 미국 정부가 배터리에 들어가는 핵심 광물에 대해 해외우려기업(FEOC)에서 들여오지 못하도록 하고 있으며, IRA(인플레이션 방지법)의 취지가 중국 견제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배터리에 들어가는 핵심 광물에 대해 수입 의존도가 높다. NCM(니켈, 코발트, 망간)배터리와 LFP(리튬, 인산, 철)배터리에 들어가는 주요 광물에 있어서는 더욱 의존도 낮추기가 주된 과제로 꼽힌다.
앞서 중국이 흑연 수출을 통제했을 당시, 국내 산업계 전반에 위기감이 조성됐던 사태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공급망 다변화는 필수다.
또한 최근 핵심광물을 보유하고 있는 국가들은 자원을 국유화해 협상의 무기로 활용하고 있다. 지난해 인도네시아와 멕시코 등 국가들은 자원 국유화에 적극적인 움직임에 나섰다. 멕시코는 중국 기업에 내줬던 리튬 매장지의 채굴권을 취소하고 자원을 무기화하면서 국가 경쟁력을 키우겠다는 야심을 보여줬다.
니켈 매장량 1위인 인도네시아도 2020년부터 니켈 원광의 수출을 금지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자원 민족주의화를 통한 국가경쟁력을 키우기 위해 오펙(OPEC)과 같은 니켈 생산국들을 위한 특별 기구 설립 방안도 고려한다고 밝혔다. 또한 이를 통해 인도네시아는 기업과의 협상안으로 자원을 활용하고 있다.
지난해 미국 테슬라의 기가팩토리 유치가 한창이던 당시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은 니켈 채굴권을 협상 카드로 제시하기도 했다. 이처럼 글로벌적으로 공급망이 폐쇄적으로 변해가는 가운데 국내 이차전지 업계의 성장을 위해서는 정부의 역할이 절실하다.
|
|
|
▲ 29일 오전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한·아프리카 정상회의 고위관리회의가 진행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
공급망 다변화의 해답으로 부상하고 있는 대안은 바로 아프리카다. 아프리카는 중남미나 인도네시아와 같이 자원의 매장량이 풍부해 글로벌 기업들이 주목하고 있는 대륙이다. 지금까지 아프리카에 매장된 핵심광물들은 중국의 네트워크망 성격이 강해 국내 기업들의 공략이 쉽지 않았다. 업계에서는 이번 한-아프리카 정상회담이 다시 아프리카를 공략할 수 있는 기회로 보고 있다.
다만, 지금까지 아프리카와의 교역률이 낮았던 우리나라가 얼마나 속도를 낼 수 있을지가 관건으로 보인다. 관세청 수출입 무역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대륙별 무역 규모에서 아프리카는 8개 대륙 중 7위를 기록했다. 전체 무역 규모에서도 1.3%에 불과해 기업의 투자와 함께 정부의 지원 등으로 무역량 확대에 신경써야 할 부분이다.
오는 4일에서 5일 양일 간 서울에서 진행되는 한-아프리카 정상회담은 48개국의 아프리카 국가들의 대표가 참석한다. 아프리카가 핵심 원료로 꼽히는 크롬, 망간, 코발트 등의 세계 광물 자원의 30% 이상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공급망 다변화를 이끌어낼 창구로 주목된다.
지난 2일 윤석열 대통령은 AFP와의 서면 인터뷰를 통해 "정상회담을 계기로 핵심 광물 관련 정보 교류 및 기술협력, 공동탐사 등의 포괄적 협력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었다.
이어 윤 대통령은 "한국이 선진국으로 발전하면서 쌓은 노하우를 아프리카에 제공하면서 인프라 구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해당 발언은 원료 광물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을 타개할 방안으로 아프리카를 지목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부는 회담에 앞서 참석한 아프리카 국가의 대표들과 협력을 진행하고 있다.
|
|
|
▲ 윤석열 대통령이 2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한·탄자니아 정상회담에 앞서 사미아 술루후 하산 탄자니아 대통령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
한편, 지난 2일 탄자니아의 사미아 술루후 하산 탄자니아 대통령이 윤 대통령과 오찬 회담을 진행하고 양국 관계 발전에 대해 논의했다. 이후 회담을 계기로 핵심광물 공급망 양해각서(MOU)를 체결하며 자원 공급망 다변화에 청신호가 켜졌다.
업계 관계자는 "아프리카는 중국의 자원 네트워크망에서 입김이 강한 대륙으로 그동안 중남미 등을 대안으로 바라봤다"며 "이번 회담을 계기로 교류의 창이 마련되면 국내 배터리 기업의 숨통이 트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미디어펜=박재훈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