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당대회 룰 당심 70%·민심 30% 개정 유력
'단일지도체제' 유지 가닥에 韓 등판 초읽기
'패장' 이미지 여전해…흥행·쇄신 부진 전망
[미디어펜=최인혁 기자]국민의힘이 10일 차기 전당대회에서 기존 당원투표 100% 룰을 개정해 민심 30%를 반영하고, 현행 단일지도체제를 유지하기로 방향을 잡았다. 정치권에서는 이를 두고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 ‘맞춤형’ 전당대회라는 평가가 나온다. 

한 전 비대위원장의 등판 가능성이 커짐에 따라 국민의힘은 전당대회 흥행은 물론 쇄신에도 부진을 겪을 것으로 관측된다.
 
국민의힘 당헌·당규 개정특별위원회는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회의를 열고 전당대회 룰 개정 및 지도체제 개편 문제를 논의했다. 특위는 이날 전당대회 룰과 지도체제에 대한 의견 차이를 대폭 줄인 것으로 알려졌다. 

   
▲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4월 11일 서울 중앙당사에서 제22대 총선 참패에 대한 책임을 지고 비대위원장직 사퇴 입장을 밝히고 있다.(자료사진) 2024.4.11. /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여상규 위원장은 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위원들과) 결론에 상당히 접근했다. 11일까지 (당헌·당규 개정에) 결론을 내기로 했다”면서 전당대회 룰 개정과 단일지도체제 유지에 이견이 크지 않다고 밝혔다. 

전당대회 룰을 개정해 민심 반영 비율을 높이고, 단일지도체제가 유지될 경우 최대 수혜자는 한 전 비대위원장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친윤계가 한 전 비대위원장을 견제하기 위해 고심했던 방안이 물거품 돼 당권 도전의 걸림돌이 사라진 영향이다.

이에 국민의힘 전당대회를 두고 ‘어대한’(어차피 당대표는 한동훈)이라는 분위기는 고조되고 있다. 특히 한 전 비대위원장 또한 최근 SNS를 통해 연일 현안과 관련된 발언을 이어가고 있어 전당대회 등판은 시간문제로 파악된다.

한 전 비대위원장의 출마는 국민의힘에게 양날검으로 판단된다. 한 전 비대위원장이 전국적인 인지도를 가져 거야에 맞설 적임자라는 평가가 나오는 반면, 총선 ‘패장’이라는 ‘책임론’에서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대한’ 분위기가 굳어질 경우 전당대회에 대한 기대감이 낮아져 흥행 실패로 이어질 것으로 예고된다.  

또 한 전 비대위원장이 당대표로 당선된다면 총선 패배로 촉발됐던 ‘쇄신’ 또한 멈춰 설 것으로 보인다. 한 전 비대위원장이 책임론의 중심에 서 있는 만큼, 자신을 향해 칼날을 겨누지 않을 것으로 분석되기 때문이다.

실제 한 전 비대위원장은 총선 패인 분석을 위해 총선백서특별위원회가 백서 제작 전 면담을 요청했으나, 현재까지 답변을 전하지 않고 있다. 

이에 정치평론가인 김철현 경일대 특임교수는 “총선 패배 책임이 있는 한 전 비대위원장이 바로 당권에 도전하는 것은 명분이 부족해 비판이 나올수 있다”면서 “특히 한 전 비대위원장이 최근 당 쇄신보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 저격수 역할에 치중하고 있어, 당 대표가 된다면 쇄신보다 대야 투쟁에 더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며 쇄신은 등한시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전당대회가 단일지도체제로 치러진다면, 어대한 분위기에서 경쟁 후보들은 출마를 망설일 가능성이 크다”며 “다양한 후보가 나오지 않는다면 당연히 전당대회는 국민적 관심을 받지 못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미디어펜=최인혁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