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일체형 확장억제 협력 강화할 토대 마련"
[미디어펜=김소정 기자]한미가 10일 서울에서 3차 핵협의그룹(NCG) 회의를 개최하고 '공동지침 문서'에 대한 검토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한미는 이날 서울 용산 국방부 청사에서 NCG 회의를 가진 뒤 발표한 '공동언론성명'에서 "한미가 함께하는 일체형 확장억제 협력을 강화할 수 있는 공고한 토대가 마련됐다"며 이같이 말했다.

공동지침의 자세한 내용은 군사기밀이라서 공개되지 않았지만, 북한의 핵공격이 이뤄질 경우 한미가 어떻게 대응할지 구체적인 계획이 담겨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미는 이번 회의에서 "NCG 출범 이후 정보공유와 협의체계, 공동기획, 공동실행 등 확장억제 분야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통해 한미동맹의 핵억제 및 대응능력을 강화했다"고 밝혔다.

또 "NCG 지침, 보안·정보공유 절차, 위기 또는 유사시 핵협의 및 소통 절차, 핵·전략기획, 한미 핵·재래식 통합, 전략적 메시지, 연습·시뮬레이션·훈련·투자활동, 위험감소 조치 등을 포함하는 NCG 과업의 실질적인 진전을 높이 평가한다"고 말했다.

   
▲ 한미가 3차 '핵협의그룹'(NCG·Nuclear Consultative Group) 회의를 10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에서 열고 있다. 2024.6.10./사진=국방부

아울러 "한반도에서 실시하는 한미 핵·재래식 통합 방안의 공동기획과 공동실행을 논의하는 한편, 한국의 첨단 및 재래식 전력을 미국의 핵 작전에 통합하는 것이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한 동맹의 억제 및 대응 역량을 실질적으로 강화"한다는 점을 재확인했다.

이를 위해 한미는 "NCG가 맡고 있는 임무를 연습하기 위해 범정부 시뮬레이션, 국방 당국간 도상 훈련을 활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오는 8월 시행되는 '을지 자유의 방패'(UFS) 연습에서 한미는 북한의 핵사용 상황을 가정한 핵작전연습을 처음으로 시행한다.

한미는 또한 한반도 주변 미국 전략자산 전개의 가시성 증진 방안과 미국 전략자산 전개와 연계한 한미 핵·재래식 연습 및 훈련 시행 방안에 대해 논의했으며, 올해 후반기 NCG 임무계획과 주요활동을 승인했다.

한미의 공동대표는 이번 NCG 결과를 올해 가을 미국 워싱턴에서 제56차 SCM과 한미 대통령에게 적절한 방식으로 보고하기로 했다. 다음 NCG 회의의 경우 올 연말 미국에서 개최하기로 했다. 

이번에 조창래 국방부 국방정책실장과 비핀 나랑 미국 국방부 우주정책차관보대행이 양국의 수석대표를 맡아 회의를 주관했고, 양국 국가안전보장회의(NSC), 국방, 외교, 정보, 군사 당국 관계자들도 참석했다.

지난 2023년 4월 한미정상의 '워싱턴선언'를 이행하기 위해 출범한 한미 핵협의그룹(NCG)은한미동맹과 확장억제를 강화하기 위해 지속적인 논의를 이어가는 양자 협의체이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