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부, 고용 AI 7대 시범과제 개발…내년 하반기 본격 적용
데이터 기반 취업 역량 향상 지원 등 취업 성과 제고 중점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정부가 인재 추천·구인 공고 작성 지원 등 인공지능(AI) 기반 맞춤형 디지털 고용 서비스(고용 AI)를 강화한다. 구직자와 구인기업의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를 지원하기 위해서다.

   
▲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를 위한 AI 기반 디지털 고용서비스./사진=고용부


고용노동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024년 부처협업 기반 AI 확산 사업' 선정에 따라 한국고용정보원과 함께 국민 체감 효과가 높은 구인·구직 서비스를 중심으로 고용 AI 7대 시범과제를 선정해 개발한다고 12일 밝혔다.

현재 고용부는 ▲AI 일자리 매칭 서비스 ▲잡케어 서비스 ▲고용24 등 디지털 고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AI 일자리 매칭 서비스는 딥러닝 등 기계학습 알고리즘이 데이터 학습을 기반으로 인식한 패턴을 활용해 문제를 해결하거나 예측하는 프로그램인 'AI 모델'을 통해 이뤄진다. 예컨대 구직자에게 매칭을 해야 할 경우 구직자가 워크넷 등에 등록한 이력서와 기업이 올린 구인 공고 등 데이터를 일자리 매칭 알고리즘이 학습해 일자리 매칭 모델을 도출하고, 신규 구직자가 데이터를 입력하면 도출된 모델을 따라 해당 구직자에게 맞는 최적의 일자리를 찾아 제공하는 식이다.

고용부는 지난 2019년 디지털 고용 서비스에 AI 모델을 도입해 일자리 매칭 서비스를 시작했고, 2020년 해당 서비스를 고도화했다.

또한 전 생애에 걸친 경력 단계에서 직업 선택과 취업 준비 지원을 위해 AI‧빅데이터 분석 기반 맞춤형 직업상담지원 서비스를 구축해 온·오프라인에서 운영하고 있다.

이번에 추진하는 7대 시범과제는 구직자의 직업 선호도와 경력 등 데이터를 기반으로 취업 역량 향상을 지원하고, 구인기업의 구인 공고 작성과 채용 조건 제시 등 인재 채용 과정에서의 서비스 활용 편의성을 증대하는 것이 골자다. 이 같은 일자리‧인재 추천 고도화를 통해 일자리 매칭 서비스를 강화함으로써 일자리 매칭 과정에서의 취업 성과를 높이는 데 중점을 뒀다.

먼저 구인 서비스는 채용 확률 모델에 기반한 맞춤형 기업 컨설팅과 생성형 AI를 통한 구인 공고 작성 지원 등으로 기업이 보다 적합한 인재를 찾을 수 있도록 개선된다.

구직 서비스는 지능형 직업심리검사 도입과 취업 확률 분석에 기반한 맞춤형 취업 지원, 직무 역량 향상을 위한 직업훈련 추천 강화를 통해 구직자 적성과 역량에 맞는 일자리에 조기 취업할 수 있도록 강화된다.

또한 AI 기술을 활용해 사용자에게 맞는 문항 최적화를 제공함으로써 검사 소요 시간 단축과 사용자 상황에 적합한 직업을 추천하는 등 지능형 AI 직업심리검사를 도입한다. 올해 구직자 특성에 맞는 직업 추천 정교화를 거쳐 내년 직업 선호도 검사 기반 개인 맞춤형 질문을 구성하는 반응형 직업심리검사를 개발‧검증할 계획이다.

이 외에도 취업·채용 성공 모델을 개발하는 등 신규 서비스를 도입한다.

고용부는 올해 연말까지 7대 시범과제의 서비스 개념검증(PoC)을 완료할 예정으로, 내년 상반기까지 시범 적용 후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대국민 서비스에 나설 계획이다.

이정한 고용정책실장은 "디지털 고용 서비스에 AI 기술을 본격 도입함으로써 개인‧기업별 맞춤형 서비스의 획기적 개선이 기대된다"며 "공공과 민간 협력을 통해 이번 시범과제가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