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보라 기자]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과 경기 침체 등에 따라 연체율이 급등하는 등 자산 건전성이 악화한 일부 저축은행을 대상으로 금융감독원이 경영실태평가를 실시하기로 하면서 업계에 긴장감이 돌고 있다. 2011년 저축은행 사태 당시 경영실태 점검으로 많은 저축은행이 시장에서 퇴출당한 바 있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은 이달 말 연체율, 순고정이하자산비율 등 자산건전성 지표가 부실한 일부 저축은행을 대상으로 경영실태평가를 실시한다.

   
▲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전경./사진=미디어펜


경영실태평가는 금융회사의 경영 부실 위험을 적기에 파악·조치하기 위해 경영상태 전반을 일정한 등급으로 평가하는 제도다. 자본적정성, 자산건전성, 경영관리적정성, 수익성, 유동성, 시장리스크에 대한 민감도 등을 평가, 1등급(우수), 2등급(양호), 3등급(보통), 4등급(취약), 5등급(위험) 등 5단계 등급으로 구분한다.

이 중 4등급 이하를 받은 저축은행에는 적기시정조치를 내릴 수 있다. 적기시정조치는 부실 우려가 있는 금융기관에 대해 금융당국이 경영개선조치를 내리는 제도다. 건전성 정도에 따라 △경영개선권고 △경영개선요구 △경영개선명령 3단계로 진행된다.

금융당국은 해당 저축은행에 인력 및 조직 운영을 축소하거나 부실자산 처분, 예금금리수준 제한, 자회사 정리, 임원진 교체 요구, 영업 일부 정지 등을 권고할 수 있다. 경영개선명령의 경우 주식 소각, 합병 등 구조조정까지 가능해진다.

금감원은 저축은행 연체율이 안정될 때까지 경영실태평가를 지속한다는 방침이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그간 부실채권 정리, 객관적인 부동산 PF 사업성 평가 등에 대해 강조해온 바 있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이날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은행장 간담회 뒤 기자들과 만나 "연체율 상승 관리 실태가 감독원 기대보다는 미흡하다는 문제의식이 있었다"면서 "시장에 대한 충격 요인이 없다는 확신이 있고, 해당 업권 다른 금융사나 다른 업권으로의 전파 가능성은 극히 낮다"고 설명했다.

1분기 말 기준 저축은행 연체율은 8.8%로 지난해 말 6.55%보다 2.25%포인트(p) 상승했다. 기업대출 연체율은 11.00%로 전년 말(7.48%) 대비 3.52%포인트 뛰었다.

부동산 PF 대출과 새출발기금 협약에 따라 제3자 매각이 제한된 개인사업자 대출을 중심으로 연체율이 상승하고 있다. 3개월 이상 연체된 부실채권인 고정이하여신비율은 10.32%로 전년 말(7.73%) 대비 2.59%포인트 올랐다.

올해 1분기 고정이하여신비율이 두 자릿수로 넘어간 곳은 46곳에 이른다. 전국 79개 저축은행 중 절반이 넘는 규모다. 금융당국은 저축은행에 고정이하여신비율을 8% 이하로 유지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이 20%가 넘어간 곳도 10곳에 이른다. 저축은행별로 보면 △상상인 24.27% △안국 29.38% △에스앤티 28.88% △대아 24.26% △솔브레인 23.63% △상상인플러스 23.59% △엠에스 22.27% △라온 21.88% △DH 21.13% △유니온 20.62%에 달한다.

이에 저축은행업권은 올 상반기에만 1조460억원 규모의 부실채권을 정리할 계획이다. 이 중 2차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정상화 펀드 규모가 5100억원으로 절반을 차지한다. 1360억원 규모의 개인 무담보·개인사업자 부실채권 매각, 개별업체 부실채권 3000억원 대손상각 등도 진행할 예정이다.

[미디어펜=이보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