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바이오가스 생산·이용 활성화 전략' 발표
2026년까지 연간 바이오가스 최대 5억N㎥ 생산·폐자원 557만톤 처리
연간 2300억 원 규모 LNG 대체·온실가스 100만 톤 감축 등 효과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정부가 내년부터 공공 발생 유기성 폐자원 50%를 부가 가치가 높은 바이오가스로 전환하는 등 연간 100만톤의 온실가스를 줄이기로 했다.

   
▲ 유기성 폐자원 바이오가스화 공정./사진=환경부


환경부는 20일 제41회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바이오가스 생산·이용 활성화 전략'을 보고했다.

이번 전략은 지난해 12월 '유기성 폐자원을 활용한 바이오가스의 생산 및 이용 촉진법' 시행으로 국내 바이오가스 산업 활성화를 위한 법적 기반이 마련됨에 따라 산업 생태계를 육성해 필요한 사항을 구체화하고자 마련됐다. 유기성 폐자원을 탄소 중립적이고 부가가치가 높은 바이오가스로 전환하고, 생산된 바이오가스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인프라 구축과 제도 개선에 방점을 뒀다. 

환경부는 이번 전략으로 2026년까지 바이오가스를 연간 최대 5억N㎥(표준 입방미터)를 생산해 연간 유기성 폐자원 557만톤을 친환경적으로 처리할 방침이다. 표준 입방미터는 온도 0도, 1기압 기준, 기체 부피를 의미한다.

이를 통해 연간 2300억 원의 화석연료(LNG) 대체 경제 효과와 연간 100만 톤(CO2eq) 의 온실가스 감축 등 효과를 기대한다. 

먼저 환경부는 바이오가스 법 시행에 따른 바이오가스 생산목표제를 안정적으로 추진한다. 

공공(하수찌꺼기·가축분뇨·음식물류 폐기물 처리 책임이 있는 전국 235개 지자체)은 내년부터, 유기성 폐자원을 대량 발생시키는 민간(대규모 가축분뇨 배출·처리자 및 음식물류 폐기물 배출자로, 2022년 기준 52개소)은 2026년부터 바이오가스 생산목표가 부여된다. 지난해 12월 전국 바이오가스 생산 규모를 고려해 2034년까지 공공은 50%, 민간은 10%로 목표를 설정했으며, 향후 단계적으로 확대된다.

환경부는 원활한 제도 시행을 위해 이해관계자 대상 설명회를 지속 추진하고, 바이오가스 시설 현장조사와 이해관계자 의견수렴 등을 통해 합리적인 세부 운영 기준을 마련한다. 특히 바이오가스 직접 생산뿐 아니라 위탁생산 및 거래 등 다양한 방식으로 목표를 충분히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통합 바이오가스화 생산 기반도 확충한다. 

바이오가스 생산 효율성을 높이도록 두 가지 종류 이상 유기성 폐자원을 동시 투입하는 통합 바이오가스화 시설 설치사업에 대한 지원을 확대한다. 

통합시설 설치 확대를 위해 인허가 절차를 간소화하고, 유기성 폐자원 투입 비율에 따라 각각 다르게 적용하는 복잡한 보조율 방식을 단순화하는 등 제도를 개선한다. 내년부터는 민간 의무 생산자도 지원한다.

또한 동식물성 잔재물 등 그간 바이오가스로 생산되지 않던 유기성 폐자원을 바이오가스로 생산하기 위한 실증사업을 추진하고, 통합 바이오가스화 기술 고도화를 위해 ▲공정 효율성 향상 ▲생산 가스 고부가가치 전환 ▲잔재물 부가가치 확대 등 연구개발(R&D) 사업을 추진한다. 

이와 함께 생산된 바이오가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제도를 개선하고 수요처를 다각화한다.

도시가스사업법 시행규칙을 개정해 바이오가스 생산자가 도시가스와 인근 수소 생산시설 등 수요처로 직접 공급할 수 있는 바이오가스를 1만N㎥에서 30만N㎥로 늘려 생산된 바이오가스를 쉽게 공급하고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전문기관 연구 결과에 따라 바이오가스 신재생에너지 가중치도 재검토한다. 

바이오가스를 활용한 수소 생산시설 설치 사업도 지속 추진한다. 특수목적법인(SPC) 설립 추진 등 사업화 방안을 마련해 바이오가스 활용 수소 생산을 위한 생태계를 조성한다. 

최근 국제해사기구(IMO)의 선박 탄소배출 규제 강화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청정 메탄올 생산에 바이오가스를 활용할 수 있는 모델도 발굴한다. 

한화진 장관은 "정부는 친환경 에너지인 바이오가스 활성화를 위해 공급과 수요를 동시에 키워나갈 수 있는 전략으로 이번 대책을 마련했다"며 "바이오가스 생산목표제 시행, 생산시설 확충 지원, 수요처 다각화를 위한 제도 개선 등으로 재생에너지 생산을 확대해 탄소중립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