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여건 변화 따른 사업성 변동, 정부 정책 등 상쇄 쉽지 않아"
"우량업체 중심 시장재편 기회…등락 있어 막연한 비관론 주의"
[미디어펜=김준희 기자]고금리와 고물가가 이어지면서 하반기에도 건설업계 수익성 악화가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다만 이러한 업황이 처음 겪는 상황이 아닌 만큼 우량업체 중심 시장재편 기회 등 긍정적 요인도 있다는 평가다.

   
▲ 고금리와 고물가로 건설사업 수익성 악화가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지난 20일 여의도 FKI타워 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한국경제인협회 주최 ‘2024년 하반기 경제산업전망세미나’에서 이 같이 밝혔다.

이 연구위원은 “고금리와 고물가로 프로젝트파이낸싱(PF)을 위시한 건설사업의 수익성 악화는 지속된다”고 내다봤다.

그는 “건설업황은 분명 어렵고 시장여건 변화에 따른 사업성 변동 여파를 정부 정책 등으로 상쇄하기는 쉽지 않다”며 “올해 건설수주 감소폭은 전년 대비 –8% 수준으로 예상되며 이는 지난해 수주 급감을 감안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위원은 지난 2022년 미국 기준금리 급등을 비롯해 코로나 이후 인플레이션 등 요인으로 인해 △PF 사업의 계산서 등 급변 △총액계약에 따른 건설사 손실 △주택매수심리 등 냉각 등 결과가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그는 “건설시장은 기업 간 거래(B2B), 기업‧소비자 간 거래(B2C) 특성을 모두 가지므로 생산 측면의 자극을 통한 수요 증진, 즉 인위적 반등은 현실적 한계가 있다”고 주장했다. 주택시장 수요 부진으로 인한 지역별 양극화 또한 심화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 연구위원은 “자생적인 반등은 이미 발생해서 양극화 양상을 보이고 있다”며 “전 고점가격을 회복한 지역과 그렇지 못한 지역, 청약경쟁률 차이 등이 예시”라고 설명했다.

그는 “미국 기준금리 같은 외부요인 영향을 국내 정책으로 상쇄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며 “무분별한 1주택 원칙, 세제 강화를 통한 다주택자 규제 등 완화는 긍정적이지만 국내 정책 효과, 특히 시장 활성화는 제한적”이라고 했다.

또 “시장 연착륙은 쉽지 않은 과제”라며 “시장 흐름대로 흘러가야만 하는 시기로 주택부문의 전반적인 반등은 특히 요원하다”고 전망했다.

다만 이 연구위원은 건설업계에 있어 지금의 업황이 ‘처음 맞는 비’가 아닌 만큼 우량업체 중심 시장재편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바라봤다. 그는 “본래도 등락이 있는 산업이므로 막연한 비관론은 주의해야 한다”고 짚었다.

해외건설 수주 또한 메이저 업체를 중심으로 호조를 나타내고 있다고 봤다. 다만 전체 업황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는 판단이다. 이 연구위원은 “공공부문을 필두로 꾸준한 엔지니어링 수주는 차년도 이후 공사발주로 기대되지만 역시 전체 업황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으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 연구위원은 PF 이슈에 대해서는 “시장환경 변화에 따른 과도기적 사안이지만 잠잠해질 때까지는 적잖은 시간이 소요된다”고 바라봤다.

그는 “PF에 대한 지원방안은 제한적이며 건설사업에 대한 지원도 동일하다”며 “공공부문 지원은 우량사업장에 집중되고 시장 변화에 따른 업계 재편이 장기사안으로 진행된다”고 설명했다.
[미디어펜=김준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