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환율 변수 등 불확실성 여전히 커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물가상승률이 3개월 연속 2%대를 기록하면서 하반기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앞으로 물가는 둔화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금리인하론에 힘이 실릴 전망이다. 다만 유가와 환율 등이 변수로 작용하는 만큼 여전히 불확실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 물가상승률이 3개월 연속 2%대를 기록하면서 하반기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사진=미디어펜 DB


3일 금융권에 따르면 물가가 안정세에 접어들면서 올 하반기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내릴 것이란 관측에 힘이 실린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 5월 기준금리를 현재와 같은 수준인 연 3.5%로 동결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하반기 물가상승률이 2.3~2.4%로 내려가는 추세가 확인되면 금리 인하를 고려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통계청이 전날 발표한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4% 상승했다. 지난해 7월(2.4%) 이후 11개월 만에 가장 낮은 상승률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1월 2.8%에서 2월과 3월 3.1%로 올라선 이후 4월 2.9%, 5월 2.7%, 6월 2.4%로 3개월 연속 떨어졌다.

석유류 가격의 오름폭이 확대됐으나, 농산물가격 상승률이 둔화하고 지난해 전기‧도시가스요금 인상에 따른 기저효과가 작용하면서 물가를 끌어내렸다. 식료품 및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물가 상승률은 두 달 연속 2.2%에 머물고 있고, 생활물가는 2.8%로 작년 7월(2.0%) 이후 처음으로 2%대에 진입했다.

물가상승률은 앞으로도 둔화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한은은 2%대 중반 수준으로 떨어진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하향 안정화될 것으로 진단했다. 한은은 이날 김웅 부총재보 주재로 열린 물가 상황 점검회의에서 “앞으로 물가상승률은 최근 유가 상승 등으로 둔화 흐름이 일시 주춤할 수 있겠다”면서도 “작년 8월 유가·농산물가격 급등에 따른 기저효과 등을 고려할 때 전반적으로 둔화추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물가가 점차 안정화되는 모습을 보이면서 올 하반기 통화정책 전환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다만 유가‧환율 등이 변수로 꼽히는 가운데 물가가 목표(2.0%) 수준으로 수렴할지 여부는 여전히 불확실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앞서 한은은 섣부른 금리 인하는 통화정책 신뢰를 저해하고, 부동산 가격상승 기대심리를 자극해 부채를 키울 수 있는 만큼, 물가상승률이 목표 수준에 수렴할 것이란 확신이 들 때까지는 충분히 장기간 긴축기조를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수차례 밝혀왔다. 

김 부총재보는 “높은 원‧달러 환율 수준이 지속되는 가운데 국제유가 움직임, 기상여건, 공공요금 조정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남아있다”면서 “물가가 예상대로 목표에 수준해 가는지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