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정보원, '세대 상생을 통한 청년 일자리 연구' 발간
"연공서열 중심 수직적 위계 탈피…정부 차원 지원 필요"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최근 청년 취업률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고령화로 인해 중장년의 계속고용과 정년 연장 등 여러 논의가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고용 취약계층'인 이들의 경력 개발 상승 효과를 위해서는 두 세대 간 '협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 /사진=한국고용정보원


한국고용정보원은 7일 이 같은 내용의 '세대 상생을 통한 청년 일자리 연구: 한일 사례를 중심으로'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여타 집단 구성원 간 소통보다 세대 간 소통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직장 내 세대 갈등이 기업 문화 전반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일에 대한 책임감 등 조직을 우선시하는 윗세대 근로자에 비해 합리성을 중시하고 개인 발전을 중요한 가치로 여기는 아랫세대 근로자 특성이 조직 내에서 상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일본의 경우, 청년고용 촉진법을 실시해 원활한 취업 실현을 위한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그 결과, 지난해 대졸자 취업률이 97.3%에 달하는 등 취업을 희망하는 청년 대부분이 노동시장에 진입하고 있다. 고연령자에 대해서는 고령화에 따른 노동력 부족에 대응해 공적연금 지급 개시 연령을 연장하고 70세 고용을 정착하는 등 고연령자 고용연장을 제도화하고 있다. 

또한 청년층은 체력이 필요한 업무나 컴퓨터 및 디지털 관련 업무 등 신규 업무 중심으로 배치하고, 중장년은 경험과 인맥을 지닌 강점을 발휘할 수 있는 업무에 배치해 서로 강점을 살리고 고령자가 청년 일자리를 차지하는 대체 효과를 해소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세대 상생 고용 창출을 위해 정부 차원에서 일터혁신컨설팅지원사업이나 청년친화강소기업 선정사업 등을 지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 사업은 청년과 중장년 협업이나 상생을 직접 지원하지는 않지만, 기존 사업체 조직문화 개선을 지원해 청년 고용 활성화 등을 도모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 사업은 정부 사업에 비해 단기적이고, 진로 멘토링과 취·창업 멘토링 등 멘토링 사업을 위주로 진행되고 있었다. 서울 은평구, 충남 아산시 등 일부 지자체에서는 중장년 일자리와 청년 일자리를 연계 확보하는 사업, 세대 상생 일자리를 위한 지자체 단위 거버넌스 확립 사업 등도 운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고용정보원은 일자리 세대 상생 확산을 위해 청년과 중장년 세대 세분화·구체화 필요성을 제시했다. 청년의 경우 학생 인구 중심인 20대와 사회생활을 경험한 30대 특성이 다르며, 중장년은 연령대뿐 아니라 경제활동 경험이나 경제력 여부에 따라서도 특성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연공서열 중심 수직적 위계를 탈피하는 조직 문화를 개선하고, 일본과 같이 정부 차원의 지원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최영순 연구위원은 "청년과 중장년은 대체 관계가 아닌 보완 관계며, 두 세대 모두 일자리에서 애로를 겪는 취약계층이라는 공통점이 있다"면서도 "하지만 서로 강점을 활용하고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기회도 늘고 있어 청년과 중장년이 세대를 넘어 다양한 일자리를 창출하고 시너지를 얻도록 열린 소통이 중요하다"고 제언했다.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