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원우 기자] 근로자들의 잦은 이직과 중간정산이 퇴직연금 자산의 누수로 이어지고 있고, 퇴직연금제도 의무화를 통해 노후자산 축적의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돼 눈길을 끈다.

   
▲ 근로자들의 잦은 이직과 중간정산이 퇴직연금 자산의 누수로 이어지고 있고, 퇴직연금제도 의무화를 통해 노후자산 축적의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돼 눈길을 끈다./사진=김상문 기자


미래에셋증권은 20일 투자와연금리포트 '노후자금인 나의 퇴직금은 다 어디로 갔나?'를 발간하면서 50대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퇴직연금 축적 실태와 이직 경험, 중도인출 현황 등을 설문 조사한 결과를 공개했다.

조사 결과 근로자의 퇴직연금 자산 축적을 저해하는 요인 중 첫 번째로는 퇴직연금 미가입이 지목됐다. 퇴직연금 미가입자의 예상 자산은 평균 9350만원으로, 가입자 평균 1억4016만원의 67% 수준에 불과했다.

잦은 이직 역시 연금자산 누수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직 경험자의 43.8%가 퇴직급여를 모두 사용했고, 이들의 예상 퇴직연금 자산은 9208만원이었다. 이는 퇴직급여를 연금계좌에 이체한 응답자 평균 1억8517만원의 절반 수준에 해당한다.

퇴직급여 중간정산과 중도인출도 연금자산 축적을 방해하는 요소라고 미래에셋증권은 분석했다. 50대 직장인 35.3%가 중간정산 또는 중도인출을 경험했고, 그중 44.2%는 비자발적 이유(퇴직연금 도입, 임금피크제 도입, 임원 승진 등)로 발생했다.

미래에셋증권은 퇴직연금의 연금화 비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퇴직연금 제도의 의무화를 통해 퇴직급여 수급권을 강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한 퇴직금을 연금계좌에 이체할 때 적용하는 퇴직소득세 감면율을 상향 조정하는 방안도 필요하다고 부연했다.

또한 근로자 개인적으로는 이직과 중간정산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퇴직급여 누수를 최소화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왔다.

이규성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선임연구원은 "퇴직연금의 연금수령 비율을 제고하기 위해 퇴직연금제도 도입을 확대하고, 근로자의 인식 개선과 제도 개선을 통해 이직과 중간정산으로 수령하는 퇴직급여를 개인형퇴직연금계좌(IRP)에 이체하도록 장려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