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병화 건설부동산부장
[미디어펜=김병화 기자]"24시간 내 전쟁을 끝내겠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식 발언이다. 대선 과정에서 수차례 공언한 그는 9월 TV 토론회에서도 "당선되면 취임 전에 해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당선인의 취임일은 2025년 1월 20일이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전후로 휴전 또는 종전을 위한 평화협상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이제 건설사들이 집중해야 할 시점이다. 전쟁 이후에는 재건사업이 뒤따른다. 전쟁으로 인해 파괴된 인프라 시설을 복구하는 대규모 재건사업은 건설사에게 놓칠 수 없는 기회다.

세계은행(WB)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재건사업 추정 규모는 4863억 달러(약 673조3796억 원)에 달한다. 주택(803억 달러) 교통(737억 달러) 에너지(471억 달러) 등 건설 인프라 재건 수요가 대부분이다.

일각에서는 1947년 제2차 대전 이후 미국이 주도한 유럽 재건사업 ‘마샬 플랜’ 이후 최대 규모 글로벌 프로젝트라는 평가도 나온다. 미국과 유럽 국가들을 중심으로 벌써부터 물밑 작업이 치열한 이유다.

   
▲ 지난 5월 25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하르키우 건축자재 상점이 러시아 미사일 공격으로 불에 타고 있다./사진=연합뉴스

국내 건설사들도 저마다 장점을 살리며 기회를 엿보고 있다. 현대건설은 지난해 7월 우크라이나 카이우 보리스필 국제공항공사와 공항 재건공사에 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같은 해 11월에는 우크라이나 전력공사와 1조 원 규모의 송변전 신설 및 보수공사도 협력하기로 약속했다.

또 삼성물산은 같은 해 우크라이나 서부 리비우시에 스마트시티 건설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도시기반시설과 ICT(정보통신기술)를 접목해 주민 생활 편의를 높일 계획이다.

이밖에 대우건설도 우크라이나 재건사업을 대비해 폴란드건설협회와 현지 건설사 이알버드(ERBUD)와 업무협약을 체결한 상태다.

아쉬운 대목은 우크라이나 난민 수용 시설 리모델링 사업에 참여한 쌍용건설을 제외하면 대부분 사업을 본격화하지 못하고 MOU 단계에 머물러 있다는 점이다.

무조건 서두를 필요는 없다. 재건사업 특성상 사업성이 큰 만큼 리스크도 크다. 무턱대고 사업을 수주했다가 금융조달 등에 어려움을 겪으며 낭패를 볼 수 있다. 즉흥적이고 예측 불가한 트럼프 2기 행정부도 변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2의 마셜 플랜’ 우크라이나 재건사업을 선점해야만 한다. 국내 주택‧건설 경기 침체가 장기화 국면이다. 고금리 기조, 원자잿값 상승,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등 악재가 겹친 결과다. 중소 건설사를 비롯해 대형 건설사들까지 벼랑 끝으로 내몰리고 있다. 재건사업은 침체의 늪에서 빠져나올 수 있는 동력이 될 수 있다.

10년을 위한 철저한 준비가 필요한 시점이다. 우크라이나 재건사업은 결코 단기 프로젝트가 아니다. 우크라이나 정부도 2023년부터 2032년까지, 10년 재건 계획을 세웠다. 준비된 건설사만 기회를 놓치지 않을 수 있다. 멀리 보는 새가 높이 나는 법이다.
[미디어펜=김병화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