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박재훈 기자]미국 트럼프 2기 정부가 통상 분야에서 중국 견제 강화 시 한국 철강 업계 피해가 커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중국발 공급 과잉 및 글로벌 경기 침체로 어려움을 겪는 철강업계에 위기감이 커질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미국 신정부 통상정책 핵심인 보편관세 도입 시 미국의 4대 강재 수입국인 한국의 미국 대상 직접 수출 감소가 불가피해진다.
24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포스코경영연구원은 해당 내용 중심으로 미국 대선에 따른 철강 산업 영향을 분석해 정부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
|
|
▲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2일 서울 강남구 한국기술센터 대회의실에서 열린 철강 업계 간담회를 주재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
미국 상무부 산하 국제무역청(ITA)의 글로벌 철강 무역 모니터링 결과 기준 미국의 한국 강재 수입량은 △2015년 440만 톤 △2016년 350만 톤 △2017년 340만 톤 등에서 2018년 250만 톤으로 급락했다.
이는 트럼프 1기 행정부가 2018년 당시 무역확정법 232조를 철강에 적용해 국가 안보를 이유로 대한국 철강 수입량을 2015~2017년 연평균 수출량 (약 383만 톤)의 70%로 축소한 쿼터를 적용했기 때문이다.
한국은 하드 쿼터 적용으로 인해 올해까지 250만 톤 안팎의 강재를 미국에 수출 중이다.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무역적자 해소를 통상정책의 핵심으로 꼽으면서 4대 강재수입국인 한국이 무역적자국이 될 가능성이 잔재해 있다. 이에 따라 보편관세가 도입되고 대미 수출쿼터가 보다 축소될 경우 한국 철강의 대미 직접 수출에도 타격이 클 것으로 보인다.
서강현 현대제철 사장은 지난 22일 철강 업계 간담회에서 기자들에게 "미국 현지에서는 (철강 수출) 쿼터를 줄이려는 시도도 있을 텐데 쿼터를 잘 유지해달라고 (정부에) 얘기할 생각"이라며 "현대차가 미국에 신공장까지 지어서 철강 수요가 늘어나고 있어서 현지 투자를 어필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또한 트럼프 2기가 멕시코와 베트남 등을 중국산 제품 우회책으로 보고 무역장벽을 강화하는 경우도 국내 기업이 운영 중인 해외 생산법인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해당하는 기업은 포스코멕시코와 포스코베트남 등이다.
현재 미국은 북미 무역협정인 USMCA 회원국인 멕시코산 유입도 강하게 차단하고 있다. 포스코멕시코는 미국 내 자동차사에 공급되는 멕시코산 아연도강판 가운데 한국산 냉연 소재를 사용하고 있다. USMCA 조강 기준을 충족 못할 시 관세를 부담해야 한다.
미국은 포스코베트남에 대해서도 한국산 베트남 우회 덤핑 조사를 개시했다.
|
|
|
▲ 중국 국유 철강 대기업 발해(渤海)철강 톈진(天津) 공장의 작년 4월 모습./사진=연합뉴스 |
또한 미국의 중국 견제와 자국 산업 보호주의에 따라 중국의 공세적 수출도 전망된다. 미국과 중국의 관세 전쟁으로 인해 경제성장률 감소를 우려하고는 중국 철강업계는 적극적 해외시장 공략 계획을 내놓은 바 있다.
중국 보무철강은 지난달 30일 기업설명회에서 "내수 부진 타개를 위한 수출 확대에 중점을 둘 것"이라며 "무역규제는 심화하지만 올해 수출 600만 톤에 이어 앞으로 1000만 톤까지 수출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중국이 미국 시장과 자국 소화가 어려운 물량을 해외로 내놓으면 상대적으로 무역장벽이 낮은 한국으로 중국산 철강 유입이 커진다.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한국의 대 중국 철강 수입은 2020년 600만 톤에서 올해 9월까지 900만 톤까지 증가했다.
포스코경영연구원은 "중국의 강재 수출은 지속적으로 1억 톤 수준을 상회할 전망으로 중국은 중남미·중동 외 한국과 동남아 등 아시아 중심의 수출 구조를 유지하고 있다"며 "한국 철강 산업은 최소한의 보호조치만 취하고 있어 중국산 수입이 1000만 톤에 육박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한국 철강 산업에게 미국 신행정부에서 화석연료 중심의 에너지 정책 재편이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석유가스 채굴·수송 프로젝트, 육상 액화천연가스(LNG) 시장, 건설기계용 중장비 시장 등에 고부가가치의 특수강 수요가 몰릴 수 있기 때문이다.
포스코경영연구원은 "미국이 규제 완화를 통해 미국 내 화석연료 생산을 확대하고 에너지 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산업전략을 추진할 것으로 전망된다"면서 "정책 변화에 따른 철강재 시장 창출 기회를 적극 공략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디어펜=박재훈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