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문상진 기자] ESG(환경,사회,거버넌스) 경영을 행정에 접목하는 지방자치단체들이 늘고 있는 가운데 ESG행정에 가장 앞서가는 지자체는 광역에서 경기도와 충청북도, 제주특별자치도, 기초에서는 화성시인 것으로 평가됐다.
'한국ESG평가원'은 17개 광역 지자체와 226개 시군구 기초 지자체의 ESG 행정과 정책이 현재 어떤 수준에 와 있는지를 알아보는 ‘2024년 지자체 ESG 정기평가’를 실시해 10일 발표했다.
평가 결과 광역 시도 중에는 작년에 이어 경기도가 A등급으로 가장 뛰어났고, 충청북도와 제주특별자치도는 전년의 B+등급에서 A등급으로 한 계단 올라섰다. 이어 충청남도와 전북특별자치도, 세종특별자치시는 B+등급을 받았고, 강원특별자치도와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경상북도,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는 평균인 B등급을 받았다. 반면, 울산과 부산, 인천광역시는 최하위 C등급을 받았고 서울은 낙제수준을 겨우 면한 C+등급에 그쳤다.
기초 시군구에서는 경기 화성시가 지난해와 같이 A+로, 평가대상 243개 지자체 중 최고등급을 기록했다. 이어 시흥시, 이천시, 춘천시, 천안시, 홍천군, 화순군, 담양군, 영광군 등이 A등급으로 우수한 성적을 보였다. 반면 서울 용산구와 부산 금정구, 대구 수성구, 인천 동구, 목포시, 군산시, 태백시 등 17곳은 최하위 C등급을 받았다.
광역 시도와 기초 시군구의 평가를 종합하면 S등급은 한 곳도 없고 A+등급은 1곳, A등급은 18곳에 그쳤다. 광역단체 10개(58.8%), 기초단체 134개(59.3%) 등 대부분의 지자체는 B+ 및 B등급에 몰려 있고, 최하위권인 C+, C등급에도 광역단체가 4개(23.5%), 기초단체가 76개(33.6%)나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자체는 해당 지역의 환경이나 사회, 공정하고 효율적인 민원처리 및 주민의견 반영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목적으로 존재한다는 점에서 사실상 ESG행정을 펼치는 기관이라 할 수 있는데 대부분이 ESG 평가에서 낮은 등급에 머물고 있는 셈이다.
손종원 한국ESG평가원 대표는 “경기도, 충청북도, 제주특별자치도와 화성시처럼 우수한 ESG행정을 펼치는 지자체가 있는 반면 대부분의 지자체가 평균등급인 B이하에 집중되는 부진한 모습”이라며 “지자체의 ESG행정은 향후 많은 개선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
|
|
▲ 지난 5월21일 스타필드 수원에서 진행된 신세계프라퍼티와 경기도의 ESG 활성화 업무협약식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첫 줄 왼쪽에서 4번째)와 임영록 신세계프라퍼티 사장(첫 줄 왼쪽에서 3번째)이 협약식에 참석한 경기도민들과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사진=신세계프라퍼티 제공 |
지자체 ESG행정 전반적으로 개선 추세
이번 평가에서 광역단체 17곳의 ESG평가 평균점수는 100점 만점에 62.2점으로 평균 B등급을, 226개 기초자치단체는 61.8점으로 역시 B등급을 기록했다.
그럼에도 광역단체 중 B+등급 이상이 지난해 4개에서 올해 7개로 늘어나고, 기초단체는 46개에서 69개로 늘어났다. 평균 B등급 이하의 비중이 광역자치단체는 작년 약 77%에서 올해 약 59%로 크게 줄었고, 기초단체 역시 약 80%에서 약 70%로 줄어드는 등 ESG행정이 전반적으로 점차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E,S,G 부문별로 살펴보면 광역단체의 경우 평균등급이 사회부문은 C+등급에서 B등급으로, 환경부문은 B등급에서 B+등급으로 상승했다. 기초단체에서도 사회부문이 C+등급에서 B등급으로 올라섰다. 특히 기초단체 환경부문에서 A+등급 이상으로 평가된 지자체 수가 작년 22개에서 올해 31개로 늘어났다.
다만 사회(S)부문에서 C+이하 평가를 받은 광역단체가 17개 중 7개나 되고, 기초단체는 226개 중 40%가 넘는 95개나 된다는 점에서 지속적인 개선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E,S,G 부문별 불균형 심각...“ESG 총괄 조직 필요”
이번 평가원의 정기평가는 작년과 달리 E,S,G 각 부문별 평가 결과와 전략 목표별 평가도 수행했다. 그 결과, 각 부문별로 골고루 잘하는 지자체가 거의 없고 부문별 불균형이 뚜렷했다. 경기도는 환경부문에서 S등급을 받을 만큼 우수했지만 지배구조부문은 B등급으로 다소 미비했다. 충청북도는 사회부문은 S등급이나 지배구조 부문은 C+, 제주특별자치도는 지배구조부문은 S등급이나 환경부문은 B등급에 그쳤다.
한국ESG평가원 허창협 평가위원은 “이러한 세부적인 평가결과가 지자체별로 무엇이 부족하고, 어떤 점에 중점을 둬야할 것인지를 인식하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며 “결국 ESG행정을 각 팀, 부서별로 나뉘어 수행하기보다 계획과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 과정을 총괄할 수 있는 조직을 구성하여 수행하는 방식으로의 전환이 시급해 보인다”고 지적했다.
이어 “행정안전부의 지방자치단체 합동평가를 보면, ESG 관련 항목이 다수 존재하나 목표 수립, 전담조직 여부 등의 기본적인 항목이 여전히 배제되어 있다”며 “지난 평가보고서에서도 지적된바 있듯이 평가항목에 ESG 총괄조직 여부, 목표 및 전략수립 여부 등이 포함된다면 빠른 시기에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체계적인 ESG행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한국ESG평가원은 설득력 있고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K-SDGs를 기반으로 자체 개발한 지자체 평가모형을 사용했다. K-SDGs는 유엔이 2015년 발표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에 기반해 우리나라가 2018년 수립한 ‘국가 지속가능발전목표’로, 현재 17개 목표체계, 119개 세부 목표, 236개 지표로 구성돼 있다. K-SDGs는 명실상부하게 ESG가 추구하는 목표와 지표를 총망라한다고 볼 수 있다.
광역단체 A등급 1->3개 증가...광역시는 ‘초토화’
우리나라 17개 광역단체 가운데 ESG 종합점수를 가장 많이 받은 곳은 작년과 마찬가지로 A등급을 받은 경기도(72점) 였고, 이어 충청북도(71점), 제주특별자치도(70점)가 2~3위를 차지했다. A등급을 받은 곳이 지난해 1곳에서 3곳으로 늘었고 B+등급도 3곳에서 4곳으로 늘어난 점은 긍정적이다.
하지만 광역시만 놓고 보면 성적이 저조하기 짝이 없다. 서울특별시를 포함해 7곳 중 B등급 이상을 받은 곳은 광주와 대구, 대전 등 3곳에 불과했다. 서울시는 C+이고, 울산과 부산, 인천은 나란히 최하위 C등급을 받았다. 거의 초토화 수준이라해도 할말이 없을 정도다.
가장 우수한 점수를 받은 경기도는 환경 관련 대부분의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받음으로써 ESG 1위 광역단체로 평가됐지만 지배구조부문에서 재정 회계의 투명성, 주민참여 예산제도, 종합청렴도 항목에서 B등급을 받아 미흡한 점을 노출했다.
충청북도는 고용 등 사회부문 항목 전반적으로 좋은 점수를 얻었으나, 폐기물 관리, 에너지 관리 등 환경부문과 주민참여예산제도, 민원서비스 항목 등 지배구조에서 낮은 점수를 받는 바람에 지난해에 이어 2위에 만족해야 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전반적으로 평가 점수가 오르며 지난해 4위에서 3위로 상승했지만 S등급으로 평가된 지배구조부문과 달리 온실가스배출량 관리, 폐기물 및 물 관리 등 환경부문에서 낮은 평가점수를 받았다.
기초단체 A등급 이상 우수 1년새 2.3배 급증
우리나라 기초단체 226곳 가운데 ESG 평가 A등급 이상을 받은 곳이 지난해 7곳에서 올해 16곳으로 2배 이상 불어났다. B+등급도 39개에서 53개로 늘어났다. 이에 따라 B+등급 이상의 우수 기초자치단체의 수가 작년 46개(20.4%)에서 69개(30.5%)로 급증했다.
이처럼 우수로 평가받는 B+등급 이상 기초 시군구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은 전반적인 ESG행정이 개선되는 방향으로 추진되고, 관심도 커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풀이된다.
기초단체에서 ESG 행정이 가장 뛰어난 곳은 경기 화성시(77점)로 A+등급을 받으면서 전국 1위를 차지했다. 243개 광역-기초단체 가운데 A+등급도 화성시가 유일했다.
이어 전남 화순군(74점)과 담양군(72점), 전북 순창군(71점), 경기 시흥시-이천시 강원 춘천시-홍천군, 충북 괴산군, 충남 천안시, 전북 완주군, 전남 영광군, 경북 의성군, 경남 사천시-남해군-하동군(이상 70점) 등 15곳이 A등급을 받았다. 또 안양시 등 53개 기초단체가 B+등급, 과천시 등 81곳은 B등급, 성남시 등 59곳은 C+등급, 서울 용산구 등 17곳은 최하위 등급인 C를 받았다.
기초단체 가운데 가장 점수가 높은 화성시의 경우 환경과 지배구조부문이 S등급을 받았으나, 사회부문의 의료서비스, 복지시설 등 공공복지나 고령화사회 대응, 교육 등의 목표 수행하기에서 저조한 점수를 받아 ESG 종합 A+등급에 머물렀다. 화순군은 사회와 지배구조부문에서 A+등급, 환경부문에서 A등급을 받는등 ESG행정 전 분야에 강점을 보였다. 담양군은 사회부문 S등급, 지배구조부문 A+등급으로 우수한 평가를 받았으나, 온실가스관리와 에너지관리에서 낮은 점수를 받은 환경부문이 B등급이어서 ESG 종합 A등급에 머물렀다.
지자체 평가 방법…ESG 지표평가 70%, 정책평가 30% 배분
한국ESG평가원은 지자체의 ESG행정을 평가하기 위해 국가 지속가능발전목표(K-SDGs)를 기반으로 지자체 평가모형을 자체 개발했다.
광역자치단체 17개 시,도 및 기초자치단체 226개 시,군,구 등 총 243개를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 2개 평가대상군으로 구분해 평가했다. 평가지표 산출에 사용된 모든 데이터는 공개된 공식 데이터로 지난해 말을 기준으로 평가함을 원칙으로, 해당 기간 지표가 없는 경우에는 2022년말을 기준으로 평가했다.
평가점수는 합계 100점 만점 기준으로 환경(E) 40점, 사회(S) 40점, 지배구조(G) 20점이다. 한국ESG평가원의 민간기업평가는 각각 30%, 30%, 40%로 지배구조(G)의 비중이 높으나, 지자체의 경우에는 행정기관이라는 조직의 특성상 지배구조의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감소하고 환경과 사회부문의 중요성이 증가한다는 점을 반영했다.
한국ESG평가원의 지자체 평가모형은 지표평가와 정책평가로 구성됐다. 평가 비중은 지표평가가 70%, 정책평가가 30%이다. 지표평가는 환경(E). 사회 책임(S), 지배구조(G)의 각 부문으로 구분해 전략목표와 세부 목표를 설정했다. 그런 다음 각각의 목표 달성 여부를 구체적인 측정 지표를 선정해 평가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미디어펜=문상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