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YTN 캡처

[미디어펜=문상진 기자] 북한이 지난 10일 노동당 창건 70주년 기념 열병식에서 300㎜ 신형 방사포를 공개하면서 실전 배치에 임박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군 관계자는 11일 "북한이 어제 공개한 300㎜ 방사포는 중국제를 모방 생산한 것으로, 현재 개발 완료 단계에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밝혔다. 그는 "300㎜ 방사포의 최대 사거리는 140㎞ 내외로 평가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언론 등에는 300㎜ 방사포의 사거리가 200㎞를 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군 당국이 평가하는 사거리는 이보다 짧은 셈이다.

300㎜ 방사포의 사거리가 200㎞ 이상이라면 황해도 개성에서 쏠 경우 우리 육·해·공군본부가 있는 계룡대도 타격할 수 있지만 140㎞ 수준이라면 계룡대에는 못 미친다. 그러나 개성에서 100여㎞ 떨어진 평택 미군기지는 사정권에 들어간다.

300㎜ 방사포는 2013년 5월 북한이 동해상으로 시험 발사했을 때 한미 양국 군 당국에 의해 처음으로 식별됐다. 이후 북한은 성능 개량을 위한 시험 발사를 계속하며 사거리를 늘렸다.

북한이 작년 8월 14일 프란치스코 교황 방한에 맞춰 동해상으로 발사한 발사체는 당초 알려진 것과는 달리 300㎜ 방사포가 아니라 KN-02 단거리 미사일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 발사체는 당시 220여㎞를 날아가 300㎜ 방사포의 사거리가 200㎞ 이상이라는 관측을 낳았다.

북한의 기존 방사포는 107㎜, 122㎜, 240㎜의 3종으로, 240㎜ 방사포의 사거리는 최대 90㎞다. 북한이 300㎜ 방사포를 실전 배치하면 수도권 이남 지역에 대한 포격 능력까지 갖추게 된다. 북한은 300㎜ 방사포에 유도장치를 탑재했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사실 여부는 정확하게 파악되지 않고 있다.

방사포는 미사일이 아니라 포탄이기 때문에 우리 군이 구축 중인 한국형 미사일방어체계(KAMD)로는 요격할 수 없다.

이에 따라 북한이 300㎜ 방사포로 공격할 경우 우리 군의 대응 무기로는 방사포 발사 진지를 무력화할 차기 다연장로켓(MLRS) '천무'가 꼽힌다.

천무는 군이 2009∼2013년 1314억원을 투입해 개발한 포병 주력 무기로, 지난 8월 초부터 육군 포병부대에 실전 배치됐다.

천무는 239㎜ 유도탄, 227㎜ 무유도탄, 130㎜ 무유도탄을 발사하며 이 가운데 227㎜ 무유도탄은 1기에 900여 발의 자탄이 들어있어 축구장 3배 면적을 단숨에 초토화하는 위력을 갖고 있다.

그러나 천무도 사거리가 80여㎞에 그쳐 300㎜ 방사포의 사정권 밖에서 이를 타격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 때문에 에이태킴스(ATACMS)가 주목을 받는다. 다연장로켓 발사기를 이용하는 단거리 탄도탄인 에이태킴스 블록1A의 사거리는 300㎞로, 300㎜ 방사포보다 훨씬 길다.

우리 군은 작년 말에는 북한이 방사포와 미사일 등으로 공격할 경우 지상·해상·공중 전력으로 동시에 타격하는 '전구합동화력운용체계'(JFOS-K)를 전력화했다.

이 시스템은 공중통제기(피스아이), 무인정찰기(UAV), 대포병레이더(TPQ), 전자전장비, 이지스 구축함 등으로 북한 방사포와 미사일 기지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탐지한다.

북한이 공격을 감행할 경우 지상의 다연장로켓과 에이태킴스, 탄도미사일인 현무Ⅱ(사정 300㎞)·현무Ⅲ(사정 1000㎞), 해상의 이지스함 SM-2 대공미사일(사정 148㎞), 공중의 F-15K 전투기 합동정밀직격탄(JDAM)으로 입체적 대응을 하도록 돼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