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편개국, 미디어렙법 등 미디어빅뱅의 원년
미디어펜은 2011년을 결산하며 미디어업계에서 일어난 주요사건 10가지를 선정발표하였다. 




2011년 미디어이슈 10


1. 종편개국
- TV조선,JTBC,채널A,MBN 등 종편4사 및 보도전문채널인 연합뉴스TV가 12월 1일 동시 개국함으로 지상파 독점시대가 사실상 끝나고 급격한 미디어빅뱅시대로 전이될 것으로 전망됨
- 수요와 공급법칙에 의해 광고수요에 비해 공급이 과잉양상이 현저해 짐으로 광고주가 을같은 갑에서 진정으로 갑같은 갑으로 자리매김 할 것이지만 부정적인 시각으로 보면 언론의 자본예속 심화도 우려됨.

-관련기사 : 종편개국, 언론계 큰 밥그릇싸움 시작  http://www.mediapen.com/3/9657/view


2. KBS 도청의혹 영구미제로
- 6월 23일 민주당대표실에서열린 최고위원·문방위원 연석회의 관련 내용을 24일 한나라당 한선교의원이 녹취록,발언록이라며 문방위전체회의에서 공개한 것이 kbs국회출입기자의 대표실 도청의혹으로 비화되었음.kbs는 도청의혹을 부인했으며 경찰은 11월 2일 관련사건을 증거불충분을 이유로 무혐의 처리함.

- 관련기사 : 국회출입기자들이 보는 KBS 도청의혹( http://www.mediapen.com/3/8765/view )
                   도청 미국은 대통령사임 한국은 후진적 덮기( http://www.mediapen.com/3/9089/view )


3. 스티브잡스,김정일,카다피 등 유명인사 사망
- 아이폰의 아버지 스티브 잡스 10월 6일 췌장암으로 사망.향년 57세.
- 애플의 영원한 CEO, IT업계 별, IT업계 큰사과, IT의 화신,IT 천재,다시는 없은 IT천재,
IT업계 신화,IT계의 거인,애플의 전설, 혁명의 아이콘, 시대의 아이콘, IT의 거장, IT의 황제

- 관련기사 : 잡스가 남긴 명언들 ‘후회없는 삶과 죽음을 위한 스물 다섯가지 키워드’
(http://www.mediapen.com/3/9284/view )
세계적 영웅 잡스, "별이 지다"(http://www.mediapen.com/3/9272/view )

- 김정일(12월 17일), 카다피(10월 20일) 등 장기집권자 사망

- 관련기사 : 연합뉴스 김정일사망 1보 쐈다.(http://www.mediapen.com/3/9772/view )
                   MB정부,같은 민족끼리 조의표시도 안하나 (http://www.mediapen.com/3/9773/view )

4. 4세대 이동통신 LTE 시작
- LG유플러스, SK텔레콤 7월부터 LTE서비스 시작. 연말까지 SKT 70만 가입, LG유플러스 50만 가입
- 토종 4세대 이동통신 와이브로 사업자 선정 실패(IST, KMI 평가점수 미달)

5. 지상파재전송 갈등
- 지상파3사와 위성방송 및 케이블SO간 재전송 갈등으로 일시적인 지상파서비스 중단
- 법원 지상파 재전송료 인정, 북유럽 국가 중심으로 지상파재전송 무료 보편화
- 방통위 재전송 관련 제도 미비로 분쟁 중재역할 미흡

- 관련기사 : HD급 지상파 재전송 전격중단(http://www.mediapen.com/3/9628/view )

6. 김병만의 달인 3년 10개월만에 종료
- 2007년 12월 16일 첫회를 시작한 개그콘서트의 인기코너 '달인'이 지난 11월 13일 대단원의 막을 내림.
- 김병만이 신선한 소재로 시청자들에게 사랑을 받았으나 4년을 채우기도 전에 또 연예대상을 앞둔 시점에 코너가 종영되어 연말 연예대상에서 김병만을 배제하기 위한 수순이라는 억측을 불러일으킴.
- 연말 KBS연예대상에서 김병만은 빈손으로 돌아갔고 후보에도 없던 1박2일팀이 대상을 수상하여
시청자들의 큰 반발을 사고 있음. 네티즌들은 '시청자가뽑은연예대상'을 김병만에게 수여함.
1박2일팀의 수상은 사실상 강호동에게 대상을 안겨주었다는 시각도 있음.

- 관련기사 : ‘개콘’ 최장수 코너 ‘달인’ 4년 만에 종영..“달인코너만 골라보는데”
(http://www.mediapen.com/3/9545/view )

7. 미디어랩법안 통과
- 2008 11월 코바코의 광고독점판매가 헌법불합치결정이 난이후 약3년만에 12월 30일 국회본회의에서 미디어렙법안이 통과 될 예정
- 현재로서는 1공영(KBS,MBC,EBS), 다민영(SBS등 방송사 최대지분 40%)이 유력하며 종편은 2년간 편입유예. 종교지역민방은 최근 5년간 평균매출수준으로 수익보전 등의 내용을 담을 것으로 예상됨

- 관련기사 : 미디어렙법안 30일 통과 전망( http://www.mediapen.com/3/9803/view )
미디어렙 싸움에 언론노조 분열 조짐( http://www.mediapen.com/3/9804/view )
미디어렙법 숨은 승자 종교지역방송(http://www.mediapen.com/3/9808/view )

8. MBC국장책임제 폐지
- 방송사중 국장평가제를 시행하는 곳은 MBC가 유일했음.
- 지난 1월 14일 사측인 국장책임제가 포함된 단협을 해지하고 본부장책임제로 변환함
- 일각에서는 국장책임제는 MBC노조의 힘이 타사에 비해 더 세다는 반증이라고 보기도 하였으나 국장책임제폐지로 인해힘의 균형이 사측으로 기운것으로 평가
- 주인이 뚜렷하지 않은 회사에서 노조가 주인 행세를 한다고 하여 MBC를 공영방송이 아니고 노영방송이라는 비판이 심심치 않게 제기되었으나 이러한 비판이 수그러 들것으로 보임

- 관련기사 : 노영방송 빌미주는 MBC 국장책임제(http://www.mediapen.com/3/7401/view )
MBC 말많은 국장책임제 없어지나( http://www.mediapen.com/3/7409/view )

9. 광고주협회 '나쁜언론' 선정
- 협회는 프라임경제, 한국증권신문, 일요시사, 시사서울비즈, 메디컬투데이 등 5개사를 ‘광고주가 뽑은 나쁜 언론’이라고 발표. 협회는 3월 16일부터 2달간 사이비언론신고센터를 통해 피해사례를 수집하여 중복사례가 접수된 매체를 선정하였다고 밝힘.
- 광고주협회의 나쁜언론선정은 광고주가 자본권력으로 제목소리를 내는 과정으로 평가됨과 동시에 매체의 생존환경 열약해짐을 의미

- 관련기사 : 광고주협회 '나쁜언론' 선정 논란(http://www.mediapen.com/3/8184/view )

10. 강용석의원 유죄판결 논란
- 중앙일보에 의해 알려진 강용석의원의 술자리 아나운서비하 발언이 인터넷을 뜨겁게 달굼
- 법원은 1심, 2심에서 모욕죄를 적용 징역6월 집행유예1년의 유죄를 선고
- 법원이 적용한 모욕죄는 외국에서 사문화된 법이고 위헌적 소지가 다분함에도 법원이 여론재판으로 몰고가 유죄를 선고 한다는 일부 네티즌들의 비판적 의견이 제기됨

- 관련기사 : 아나운서협 강용석의원 사퇴요구(http://www.mediapen.com/3/5227/view )
강용석 진짜 유죄인가 (http://www.mediapen.com/3/8538/vie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