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철위, "자료 저장 중단 원인 밝히고 사고 원인 가리는 데 최선 다할 것"
[미디어펜=박재훈 기자]무안공항의 제주항공 사고기 블랙박스 비행기록장치(FDR)와 조종실 음성기록장치(CVR) 모두 충돌 전 4분간의 기록이 저장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항공 운항 전문가들은 사고기가 조류와 충돌하고서 양쪽 엔진이 고장 나 기체가 전원 셧다운(공급 중단)되면서 기록이 끊겼을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 30일 전남 무안군 무안국제공항 활주로에 전날 동체 착륙을 시도하다 충돌 후 폭발한 제주항공 여객기의 흔적과 잔해가 남아 있다./사진=연합뉴스


연합뉴스에 따르면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원인을 조사 중인 국토교통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항철위)는 11일 "미국 국가교통안전위원회(NTSB)에서 사고기 FDR과 CVR을 분석한 결과 항공기가 로컬라이저에 충돌 4분 전 두 장치 모두 자료 저장이 중단된 것으로 파악된다"고 말했다.

항철위는 사고 조사 과정에서 자료가 저장되지 않은 경위를 확인할 계획이다. 사고기는 지난달 29일 오전 9시 3분 무안공항 활주로 끝단의 로컬라이저가 설치된 콘크리트 둔덕과 충돌해 사고가 발생했다.

사고 당일 오전 8시 57분 무안공항 관제사는 사고기에 조류와의 충돌을 경고했다. 이후 기장은 2분 뒤 조류 충돌로 인한 조난 신호(메이데이)를 외친 후 복행을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항철위는 블랙박스에는 기장이 조난 신호를 통보한 무렵부터 고도를 높였다가 착륙 시도까지 상황을 담은 자료가 남아있지 않다고 설명했다. 이들 장치에 기장의 조난 메이데이 선언 순간이 기록됐는지는 확이되지 않은 상태다.

항공기 블랙박스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 기록이 중단된다. 사고기의 경우 비상용 배터리 역하을 하는 보조장치가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사고기의 전파 기반 항공기 추적 시스템(ADS-B)또한 8시 58분 50초를 마지막으로 정보 송출이 끊겼다. 셧다운이 발생했을 것이라고 추정되는 점이기도 하다.

김광일 신라대 항공운항학과 교수는 "굉장히 드문 일이지만 두 엔진이 모두 작동하지 못하면서 발전기가 멈춰 CVR, FDR과 ADS-B가 모두 끊긴 것으로 추정된다"며 "인적 요인이라기보다는 기내 전력이 공급되지 않은 점이 원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정윤식 가톨릭관동대 항공운항학과 교수도 "사고 4분 전부터 일괄적으로 데이터 저장이 중단됐다는 것은 전기적 결함일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이어 "정확한 자료 저장 중단 원인을 밝히고 다른 자료들과의 교차 검증을 거치면서 사고 조사 기간이 좀 더 길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과거 국내 항공사 여객기 사고에서는 조사 결과 발표까지 짧으면 11개월 길면 수년이 걸렸다.

   
▲ 블랙박스인 조종실 음성기록장치(CVR)가 데이터 추출 작업이 마무리돼 앞으로 약 이틀 안에 파일 변환을 마치고 분석에 들어갈 예정이다. 사진은 사고 여객기에서 수거한 음성기록장치(CVR)./사진=연합뉴스


항철위 관계자는 "조사는 CVR과 FDR 자료만이 아닌 다양한 자료에 대한 분석 등을 통해 이뤄진다"며 "자료 저장 중단 원인이 엔진 동력 상실인지 연결 케이블 장치 오류인지 등을 밝히고 정확한 사고 원인을 가리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항철위는 사고 순간을 재구성하기 위해 무안공항 관제 기록과 사고 순간을 담은 영상물, 현장 잔해 부품 등과 함께 분석을 진행 중이다.

앞서 사고 현장에서 CVR은 외관상 온전한 상태였으며 FDR은 전원과 자료저장 유닛 간 커넥터가 분실돼 분석이 어려운 상태로 수거됐다.

CVR은 김포공항의 자체 시험분석센터에서 자료를 인출해 음성파일로 변환하고 지난 4일 녹취록을 작성했다. 그 결과 충돌 4분 전부터 저장이 중단된 것으로 파악됐다.

항철위는 NTSB와 협의해 교차 검증에 나섰으며 지난 6일 FDR을 워싱턴의 NTSB로 보내면서 CVR도 함께 보냈다.

NTSB측은 두 장치를 분석한 결과 마지막 4분의 기록이 없다는 것을 확인한 뒤 이날 오전 항철위에 알렸다. 분석 과정에는 항철위 조사관 2명이 함께했다.

해당 조사관들은 오는 13일 오후 FDR-CVR과 분석 자료 등을 들고 귀국 예정이다. 항철위는 "향후 현장조사 완료 시점을 포함해 필요한 경우 유가족 등을 대상으로 공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라며 "공정하고 투명한 사고 조사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미디어펜=박재훈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