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규모 사업장 5곳 대기질 개선 지원…올해 198억원 투입
2025-01-16 13:00:33 | 유태경 기자 | jadeu0818@naver.com
오염물질 저감시설 교체·지역 내 대기질 분석 등 지원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정부가 올해 198억 원을 들여 전국 집중관리지역 내 소규모 사업장 5곳을 대상으로 대기질 개선을 추진한다.
![]() |
||
▲ 우리동네 맑은공기 패키지 지원 대상 지역./사진=환경부 |
환경부는 지역 대기질 개선을 위한 2025년 '우리동네 맑은공기 종합지원' 대상지로 5곳을 선정했다고 16일 밝혔다.
종합지원 대상지 5곳은 ▲인천광역시 남동국가산단 ▲대구광역시 성서산단 ▲경기도 안산시 반월국가산단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본산리 준공업지역 ▲경상남도 양산시 덕계‧소주 일반산단 등이다.
우리동네 맑은공기 종합지원 사업은 대기질이 좋지 않은 지역의 소규모 사업장을 집중 지원해 대기오염물질 배출을 줄이기 위해 추진된다. 소규모 사업장을 대상으로 올해 국비 110억 원, 지방비 88억 원 등 총 198억 원의 보조금을 지원해 사전 기술 지원과 오염물질 저감시설 교체, 사후 적정운영 관리 등을 종합 제공한다.
기존에는 소규모 사업장 신청 위주로 노후 오염물질 저감시설 교체를 지원하는 방식이었다. 올해는 환경부가 지역 단위로 대기질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지역을 신청받은 후 사업 필요성과 시급성, 사업 추진 의지, 사업 효과성 등을 검토해 최종 사업대상지를 선정, 선정지역 내 소규모 사업장을 집중 지원하는 방식으로 개편됐다.
오염물질 저감시설 교체 외에도 지역 내 대기질 분석과 오염원 조사를 토대로 한 사업장 기술 진단, 사후관리 등 지역 단위의 종합적인 지원도 이뤄질 계획이다.
이번에 종합지원 사업 대상지로 선정된 5곳은 미세먼지,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등 대기오염물질 평균 농도가 전국 평균 대비 높은 지역이다. 이들 지역은 그간 관할 지자체에서 대기‧악취 감시 시스템을 운영하고 소규모 오염물질 저감시설 등을 지원했음에도 여전히 대기질이 좋지 않아 주민 불편이 지속되고 있다.
특히 이들 지역은 소규모 사업장이 밀집돼 있고, 사업장 주변에 대규모 주거지가 형성돼 있어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대기질이 개선된다면 주민 생활 편익이 크게 향상될 것이라는 게 환경부 설명이다.
환경부는 우선 지자체와 협력해 이들 지역을 대상으로 악취 실태조사 또는 첨단 감시장비를 활용한 대기질 정밀조사를 실시하고, 오염 원인 분석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고농도 오염지점과 인접한 사업장에는 전문기관(녹색환경지원센터 등)이 기술 진단을 통해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노후 오염물질 저감시설 교체와 사물인터넷(IoT) 측정기기를 활용한 상시 감시체계(모니터링)도 지원한다.
아울러 지역 내 대기질 조사를 정기적으로 수행해 개선 경향을 분석하고, 주민과의 소통을 강화해 생활 불편 해소와 사업 신뢰도 제고에 기여할 방침이다.
오일영 대기환경정책관은 "올해 사업 성과를 토대로 전국 취약지역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며 "지역 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이 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했다.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