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 취임과 동시에 연설 통해 전기차 보조금 전격 폐지 선언
황용식 교수, "중국 관계 재설정하고 미국 파트너십 강화해 공급망 방향 모색해야"
[미디어펜=박재훈 기자]트럼프 2기 행정부가 출범하면서 각 산업군이 변화하는 정책에 촉각을 세운 가운데, 배터리 산업도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바이든 정부 당시 펼쳤던 IRA(인플레이션 방지법)보조금 폐지가 거론되고 주요 고객사인 완성차 업체들이 생산조절에 들어가 올해도 경영 환경이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워싱턴DC 국회의사당 내 로툰다홀에서 제47대 미국대통령 취임식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21일 배터리업계에 따르면 국내 배터리업계가 20일 (현지시간) 출범한 트럼프 2기 정부의 정책변화에 따른 대응책 마련에 분주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워싱턴DC 연방의사당 중앙홀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관세를 비롯해 각 산업에 영향을 미칠 정책을 시행할 것을 공표했다.

이날 취임식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금까지 바이든 정부에서 진행해왔던 전기차 보조금을 전격 폐지하고 내연기관 차량에 혜택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기차 의무화를 철회해 자동차 산업을 보호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로 인해 지난해부터 이어진 가장 어려운 문제점으로 꼽힌 전기차 캐즘이 장기화될 가능성이 더욱 커졌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파리 기후협약에 탈퇴를 선언하면서 지금까지 이어진 친환경 기조와 다른 방향의 정책을 펼칠 것을 시사했다. 

배터리 업체의 전방산업이자 주요 고객사인 완성차 업계가 전기차 캐즘으로 인해 생산 속도를 조절함에 따라 국내 배터리 업체들에게도 영향이 가기 시작했다. 지난해 완성차업체들이 재고 조절에 들어가는 등 전기차 생산 목표를 수정하자 고객사에 제품을 공급해야하는 배터리 업계도 자연스레 가동률이 줄어들기 시작했다. 가동률이 줄어들면서 고정비용의 부담이 증가했고, 이는 실적에도 영향을 미쳤다.

국내 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삼성SDI·SK온)은 지난 4분기 재고 소진 조절에 들어감에 따라 적자로 전환했다. 지난해 4분기 LG에너지솔루션은 2255억 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미국 IRA에 따른 AMPC(첨단세액공제)를 제외한 적자는 6028억 원으로 집계됐다. 아직 실적을 발표하지 않은 삼성SDI와 SK온도 LG에너지솔루션과 마찬가지로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공급망 재편에 따른 변화 적응해야…친미탈중이 과제

다만 IRA가 주로 미국 내 일자리가 부족한 러스트벨트 지역에 창출하는 효과를 감안하면 완전 폐지될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세부적인 정책이 변화할 가능성이 커져 최종적으로는 보조금을 대폭 축소할 것에 무게가 실린다.

배터리 소재에 대한 관세도 불확실성이 커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국우선주의를 통해 공급망을 재편하는 방안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로 인해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겠다는 것으로 풀이되지만 동시에 중국과의 협업에서도 손을 떼야 하는 시점이 앞당겨 진 셈이다. 국내 기업들도 생존을 위해서는 공급망에서 탈 중국화를 해야 할 필요성이 커졌다.

정부도 트럼프 취임에 하루 앞서 사태의 심각성을 공감하고 TF(태스크포스)를 발족해 위기관리에 들어갔다. 

지난 20일 한국배터리산업협회, 배터리·배터리 소재기업들은 이차전지 비상대책 TF를 구성했다. TF에는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 배터리 기업과 에코프로, LG화학,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등 배터리 소재 기업이 참여했다. 해당 TF에는 산업 경쟁력 제고 전략과 광물 자원 수급 동향이 논의됐다.

황용식 세종대 경제학부 교수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트럼프 정부의 요직을 맡고 있고 기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만큼 테슬라는 이차전지를 기반으로 한 수혜주가 될 수 있으며 이는 마찬가지로 배터리 산업과 연관됐기 때문에 이를 리스크로만 볼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이어 "IRA의 경우 트럼프가 극단주의자라고 하더라도 정책을 급격하게 바꿀 수 없기 때문에 일부 보정을 할텐데 명확한 것은 소위 해외 우려기업이라고 말하는 중국과의 합작 투자라던가 연관성을 맺고 있는 기업에 대해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본다"며 "미국기업들과의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중국과의 관계를 재설정하는 등의 조치를 해야 우리 기업들이 안정권에 들어가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디어펜=박재훈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