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곽종근의 '회유성 증언' 전모 드러나…검찰수사 촉구”
2025-03-06 10:26:09 | 최인혁 기자 | inhyeok31@mediapen.com
권영세 “민주당 내란죄 엮기 위해 곽 전 사령관 회유·겁박”
윤상현 “오염된 증언 실체 드러나…野 위력으로 증인 매수”
나경원 "거짓으로 정권 찬탈하겠다는 광기가 내란몰이 돼"
윤상현 “오염된 증언 실체 드러나…野 위력으로 증인 매수”
나경원 "거짓으로 정권 찬탈하겠다는 광기가 내란몰이 돼"
[미디어펜=최인혁 기자]국민의힘이 6일 곽종근 전 육군특수전사령관이 강요에 의한 회유성 증언을 한 전모가 드러났다고 주장하면서 검찰의 수사를 촉구했다.
TV조선은 전날 곽 전 사령관과 지인의 통화 내용을 보도했다. 해당 보도에 따르면 곽 전 사령관은 김병주 더불어민주당 의원 유튜브에 출연하기 전날인 지난해 12월 5일 지인에게 “내가 살려면 나보고 양심선언을 하라고 한다” “어찌 됐든 간 얘들이 사정을 아는데 그래도 내란죄로 엮겠다고 한다”라고 하소연하는 내용이 담겨있다.
이에 여권은 곽 전 사령관이 김 의원 유튜브에 출연해 한 양심선언은 민주당의 회유와 강압에 의해 오염된 것이라고 반발했다. 실제 곽 전 사령관은 윤석열 대통령이 ‘의원들을 끌어내라는 지시를 했다’는 취지로 양심선언했으나, 헌법재판소 탄핵심판에 증인으로 출석해서는 관련 진술을 일부 번복했다.
![]() |
||
▲ 곽종근 육군 특수전사령관이 10일 오후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계엄 당시 윤석열 대통령과의 통화내용을 공개하며 굳은 표정을 짓고 있다. 2024.12.10./사진=연합뉴스 |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곽 전 사령관의 녹취에 대해 “곽 전 사령관은 민주당 김병주 의원 유튜브 채널에 출연해 대통령이 국회의원을 끌어내라고 명령했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민주당은 곽 전 사령관의 주장을 대통령 탄핵 심판과 내란죄의 핵심 근거로 삼아왔다”라면서 윤 대통령 탄핵이 오염된 증언으로 시작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권 비대위원장은 “얼마 전 김현태 707 특임단장은 민주당 박범계, 부승찬 의원이 유튜브 출연 하루 전 곽 전 사령관에게 질문과 답변을 적어주고 리허설까지 시켰다고 증언한 바 있다”라면서 “이 통화는 바로 그날 저녁에 있었던 일이다. 살려면 시키는 대로 하라는 민주당의 겁박에 시달리고 와 친구에게 하소연한 내용이 그대로 담겨 있다. 민주당 국회의원들이 내란죄를 엮기 위해 곽 전 사령관을 회유, 겁박한 사실이 명확하게 드러난 것”이라고 비판했다.
윤상현 의원도 SNS를 통해 “오염된 증언의 실체가 드러난 것이다. 곽 전 사령관의 증언은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의 결정적 증언이었고 탄핵심판의 핵심 증언이라는 점에서 이번 문제는 매우 심각하다고 할 수 있다”라고 반발했다.
또 윤 의원은 “어느 누군가가 곽 전 사령관에게 협박과 함께 증언을 요구했고, 곽 전 사령관 본인의 의지와는 다르게 원치 않는 증언을 하도록 유도했다고 볼 수 있는 정황이다. 곽 전 사령관을 내란죄로 엮을 수 있는 막강한 힘을 가진 사람은 과연 누구일까? 그리고 왜 하필 다음날 민주당 의원의 유튜브에 출연했을까?”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윤 의원은 “이 문제는 심각한 문제이다. 위력에 의한 증언 강요, 증언 조작, 증인 매수 행위에 해당할 수 있는 중대한 범죄행위이다. 검찰은 즉시 곽 전 사령관을 조사하고 녹취에 나오는 협박성 증언을 강요한 자가 누구인지 찾아내 철저하게 수사하고 진상을 규명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나경원 의원은 SNS를 통해 "의회독재, 거짓선동으로 대통령을 탄핵해 정권을 찬탈하겠다는 광기가 이런 내란몰이가 된 것인가?"라고 반문하며 "민주당은 이제 더 이상 대한민국의 정당이 아니라 반국가세력이라는 오명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정치 공작으로 국가를 혼란에 빠뜨린 세력들에 대한 수사와 책임규명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라고 질타했다.
한편 국민권익위원회는 곽 전 사령관을 공익신고자보호법에 따라 형을 감면받을 수 있는 공익신고자로 판단하고 있다. 다만 곽 전 사령관이 공익신고자 보호 신청을 하지 않아 보호 조치는 하지 않은 상태다. 권익위는 공익신고자가 보호 신청을 할 경우 관련 요건을 검토해 보호 조치를 결정한다.
[미디어펜=최인혁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