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보라 기자] 지난달 한파, 폭설로 인한 사고가 늘면서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전년 대비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에서는 올해 추가적인 자동차보험료 인하에 공임 인상 등을 반영하면 손해율이 더욱 악화할 것이라고 우려한다.

지난달 한파와 폭설로 사고가 늘면서 대형 손해보험사들의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악화했다./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25일 손해보험업계에 따르면 자동차보험 시장점유율 85%를 차지한 삼성화재·DB손해보험·현대해상·KB손해보험 등 등 대형 4개 손보사의 지난달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평균(4개사 단순 평균) 88.5%로, 전년 동기(79.3%) 대비 9.2%p(포인트) 급등했다. 전월(82.0%)과 비교하면 6.5%p 상승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현대해상이 93.2%로 가장 높은 손해율을 기록했다. 일년새 11.3%p나 올랐으며, 빅4 손보사 중 유일하게 90%를 웃돌았다.
이어 △DB손보(88.5%, 10.4%p↑) △삼성화재(87.3%, 8.8%p↑) △KB손보(85.1%, 6.2%p↑) 순이다.
다른 손보사의 경우 MG손해보험이 91.9%를 기록했으며, 메리츠화재와 한화손해보험은 각각 89.5%를 기록했다.
손해율은 보험사가 보험계약자로부터 받은 보험료 중 사고 등의 발생으로 피해자에게 지급된 보험금 비율이다. 손해율이 80%라는 것은 고객으로부터 보험료로 100원을 받아 보험금으로 80원을 지급한 것을 의미한다.
통상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80%, 대형사의 경우 82%가 손익분기점으로 여겨지는 것을 감안하면 명백한 적자 구간이라는 평가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2월 한파, 폭설로 인한 사고 급증으로 인해 손해율이 크게 상승하면서 올해 2월까지 자동차보험 영업손익이 적자를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올해까지 4년 연속 자동차보험료를 인하한데다 봄철 행락객 증가로 인한 교통사고 증가, 시간당 정비공임 2.7% 인상 등이 반영되면 보험금 지출 증가로 이어지면서 올해 손해율은 더욱 악화할 것으로 우려된다"고 덧붙였다.
앞서 대형 손해보험사들은 최대 1%에 달하는 자동차보험료 인하율을 확정했다. 손보사들은 자동차보험료를 2022년 1.2~1.4%, 2023년 2.0~2.5%, 2024년 2.1~3.0% 내렸다.
메리츠화재는 이달 중순부터 개인용 자동차보험료를 1% 인하했다. 삼성화재와 DB손보는 내달 초부터 자동차보험료를 각각 1%, 0.8% 내린다. 현대해상과 KB손보는 내달 6일 책임 개시 계약부터 자동차 보험료를 각각 0.6%, 0.9% 하향 조정한다.
자동차 정비수가는 보험에 가입한 차량이 사고가 났을 때 보험사가 지급하는 수리비로 올해는 2.7% 인상됐다. 2020년 법 개정으로 손보업계와 정비업계가 협의를 통해 공임비를 결정하기로 한 이후 매년 올랐다. 정비수가가 인상되면 보험금 지출도 늘어 손해율 상승의 원인이 된다. 통상 정비수가 4% 인상은 보험료 1% 인상 요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디어펜=이보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