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소희 기자] 지난해 설립된 ‘자연자본 공시 협의체’에 이어 국내 ‘자연자본 공시 지원연합(TNFD Consultation Group)’이 공식 출범한다. 기업, 금융기관 등 이해관계자에게 자연 관련 재무정보 공개협의체의 권고안과 각종 공시 역량을 구축하는 것을 지원하게 된다.

국립생물자원관 전경./사진=생물자원관
환경부는 27일 서울 마포구 소재 서울가든호텔에서 열린 제5차 자연자본 공시 협의체 회의를 통해 ‘한국 자연자본 공시 지원연합(컨설테이션 그룹)’을 출범한다고 밝혔다.
‘자연자본 공시’란 기업이 자연과 관련된 위험과 기회를 재무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관리하는 방안을 투자자에게 공개하도록 의무를 부여하는 제도다. 이 제도는 2021년 6월에 ‘자연 관련 재무정보 공개협의체(TNFD)’가 설립된 이후 ‘국제 규범(글로벌 이니셔티브)’화 되고 있다.
이번 ‘한국 자연자본 공시 지원연합’은 지난해 3월에 설립됐던 ‘자연자본 공시 협의체’와 별도로 기업의 실질적인 자연자본 공시 활동을 지원하는 보다 포괄적인 기구로 운영된다. 먼저 결성된 협의체에는 23개 기업을 포함한 31개 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한국 자연자본 공시 지원연합’은 대한상공회의소와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이 주도하게 된다.
자연자본 공시에 관심 있는 기업이나 단체는 국가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 누리집(www.kbr.go.kr)에서 가입 정보를 확인해 지원연합에 가입하고, 관련 정보를 얻거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
한편 ‘자연자본 공시 협의체’ 회원 31개 기관은 이날 5차 회의에서 이번 ‘한국 자연자본 공시 지원연합’의 출범을 환영하고, 참여 의사를 밝힐 예정이다.
또한 일본 내에서 자연자본 공시 지원연합을 주도하고 있는 엠에스앤에이디(MS&AD) 보험그룹과 노린추킨 은행에서도 자국의 자연자본 공시 운영 사례를 공유하며 향후 운영과 참여 확대 방안을 함께 논의한다.
이번 ‘한국 자연자본 공시 지원연합’의 출범을 계기로 우리나라는 미국, 일본 등 15개 국가와 호주·뉴질랜드, 아세안, 노르딕 국가 등 3개 지역에 이어 19번째로 ‘자연자본 공시 지원연합’이 공식적으로 활동하게 됐다.
서민환 생물자원관장은 “한국 자연자본 공시 지원연합이 국내 기업의 자연자본 공시 이행을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앞으로도 기업들이 자연자본 공시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필요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전했다.
[미디어펜=이소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