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소희 기자] 기업-시민사회-정부 간 협력체계인 생활화학제품 안전약속 이행협의체가 출범된 이후 첫 전체회의가 3개월 만에 열린다. 지난 2월 기준 이행협의체에 참여한 기관은 총 75개로, 이들이 모여 발전 방향 논의 등 교류·협력의 장을 마련할 예정이다.

생활화학제품 안전약속 이행협의체 로고와 심볼./자료=환경부
환경부는 27일부터 이틀간 경기 고양시 소재 소노캄고양에서 ‘생활화학제품 안전약속 이행협의체’ 2025년 전체 간담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작년 12월 이행협의체 출범 이후 열리는 첫 번째 전체회의로,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를 위한 이행협의체 책임과 역할을 논의하고 민관 협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생활화학제품 안전약속 이행협의체는 지난해 12월 2일 제품 안전관리를 위해 제조·수입·유통사 69곳, 시민사회 4곳, 정부기관 2곳 등이 함께 발족한 바 있다.
참여기업은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를 위한 전 성분을 공개하고, 제품 원료 단위 안전성 점검 등 자발적 조치를 시행하며, 시민사회는 협의체 과제 이행 전 과정 참여 및 산업계·정부 협력과 소통을 담당하고 정부는 민관 협력체계 구축, 협의체 운영 및 산업계 이행지원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날 전체회의에는 이행협의체 관계자 100여 명이 참석해 △기업 자율 안전관리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제언 △이행협의체 발전 방안 및 시민사회 역할 △안전한 생활화학제품 확산을 위한 협력 방안 등의 주제 발표 및 토론을 진행하고, 임기 2년의 운영위원회 선출도 병행될 예정이다.
운영위원회는 기업·시민사회 15인 내외로 구성, 전체회의가 마련한 사업계획의 이행과 노력도 등을 점검하게 된다.
박연재 환경부 환경보건국장은 “기업과 시민사회는 안전한 생활화학제품 확산을 위해 함께 고민하고 변화를 만드는 중요한 동반자”라며, “이번 전체회의에서 제시되는 다양한 논의들이 민관의 협력을 더욱 공고히 하고 제품 안전관리 정책을 발전시키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미디어펜=이소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