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지호 기자] 총선 변수가 사라진 후 국내 증시가 어떤 흐름을 보일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증권업계에서는 총선이 주가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거나 불확실성 해소 측면에서 긍정적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1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1996년 15대 총선부터 2012년 19대 총선까지 투표일 전후 7거래일간의 주가 등락률을 분석한 결과, 5차례의 총선에서 뚜렷하게 일관된 흐름이 없었다.
가장 최근인 19대 총선에서는 투표일 전 7거래일간 코스피가 0.99% 하락하고 그 후 7거래일에도 0.97% 떨어졌다. 그러나 2008년 18대 때에는 총선 전후 7거래일간 각각 2.61%와 3.11% 상승했다.
2004년 17대 때는 총선 전후로 각각 0.37%, 3.69% 올랐다. 2000년 16대 때는 반대로 각각 10.68%, 2.78% 떨어졌다. 1996년 15대 때는 투표일 전 7거래일간 9.11% 오르고 총선 후 7거래일간은 1.06% 내렸다.
키움증권의 1980년 이후 9차례의 총선을 전후한 주가 동향을 살펴본 결과에서 총선은 증시에 오히려 악재였다. 총선 10일 전부터 총선 전날까지 코스피는 평균 1.2% 하락했고, 총선이후 10일 동안도 평균 0.7% 내려앉았다.
하지만 IT 거품이 터진 2000년과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8년을 빼고 1981년 이후 7차례의 총선 전후 코스피 등락률을 조사하자 다른 결과가 나왔다. 투표일 전 10일간은 코스피가 평균 0.63% 하락하고 그 후 10일간은 0.75% 상승했다.
홍춘욱 키움증권 연구원은 “글로벌 경기가 급격히 악화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순 없지만 주요 경기 예측지표가 나빠지지 않은 상황에서 섣불리 경기하강을 예견할 필요가 없다”며 “이번 총선은 위기가 없었던 해처럼 총선 이후 주식시장의 불확실성이 해소되는 긍정적 영향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총선 후 수혜를 입을 것으로 예상되는 대표적 업종은 건설이다. BNK투자증권이 1988년 13대 총선부터 2012년 19대 총선까지 7번의 총선 전후 주택가격 변동률을 비교한 결과 대체로 총선 다음 해부터 2년간 주택시장이 총선 전에 비해 상승세를 탄 것으로 나타났다.
7번의 총선 다음 해부터 2년간 주택시장 누적상승률은 평균 10.7%로 집계됐다. 다만 1996년 15대 총선 이후에는 외환위기의 충격으로 예외적으로 하락세가 커졌고, 2008년 18대 총선 이후 글로벌 금융위기의 여진으로 상승폭이 제한적이었다. 두 번의 위기를 제외하더라도 평균 상승률은 16.4%에 달했다.
변성진 BNK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미국의 금리인상 가능성이 낮아져 한국은행의 추가 금리인하 여지가 남아있다”며 “총선 이후 건설업체 중 주택부문 비중이 높은 현대산업개발이나 대우건설이 총선 이후 주목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밖에 제품 가격인상에 소극적이었던 식음료 기업이 총선 후 가격을 올릴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음식료 업종도 수혜를 입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이번 총선에서 여당인 새누리당은 ‘한국판 양적완화’를 내세우고 있고 경기부양에 따른 증시활성화도 기대된다.
한국판 양적완화란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하고, 주택담보대출증권 및 산업은행 채권을 직접 인수하는 방식으로 시중에 돈을 풀어 저성장 기조를 타파하겠다는 일종의 경기부양책이다. 새누리당이 과반수 의석을 차지한다면 실현 가능하다는 전망이 나온다.
증권업계에서는 한국판 양적완화 시행으로 시중에 자금이 풀리면 주식과 채권 등 자산가격이 오름세를 보이고 위축된 투자심리도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한국판 양적완화보다는 금리인하가 더욱 확실한 증시 부양책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김상훈 KB투자증권 연구원은 “해외에서는 한국이 아직 기준금리 인하 여력이 있는 나라로 보고 있다”며 “보수적인 대출정책 등으로 현재 대출금리가 내려가지 않는 점을 감안하면 양적완화보다 기준금리 인하가 보다 더 확실한 경기부양 방법”이라고 지적했다.
그럼에도 한국형 양적완화 공약은 증시에 긍정적일 것이라는 분석이다.
박종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집권 여당이 총선 공약으로 한국판 양적완화 도입을 내세운 것은 본질적으로 적극적인 경기부양 의지를 내비친 것”이라며 “한은은 우선 전통적인 통화완화 조치인 금리인하 이후 추가 통화정책 수단에 대해 고민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김지호 기자]